‘맨홀’에 갇힌 청소년, 혼자서 구원의 빛 찾을 수 있을까

‘맨홀’에 갇힌 청소년, 혼자서 구원의 빛 찾을 수 있을까

입력 2012-08-11 00:00
수정 2012-08-11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맨홀】 박지리 지음/사계절 펴냄

흙먼지를 뒤집어쓴 채 아이들이 축구를 한다. 평범해 보이지만 사고 친 아이들을 보호하는 ‘한마음 청소년 센터’의 낮 풍경이다. 골키퍼를 보고 있는 열아홉 살 ‘나’ 역시 평범해 보이는 가정에서 자랐다. ‘내’가 열여덟 살 때 아버지는 화재 현장에서 열여섯 명의 목숨을 구하고 스러져 소방 영웅이 됐다. 하지만 가족에게는 매일 밤 폭력을 휘두르며 집을 “불길 속 공포로 몰아넣은” 악인이었다.

박지리의 청소년 소설 ‘맨홀’(사계절 펴냄)은 악마 같은 아버지를 죽이는 장면을 여러 번 상상했던 소년이 아버지가 죽은 뒤 1년 동안 겪은 감정변화를 담담하게 그린다.

‘나’는 아버지만 사라지면 평화를 찾을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엄마는 병에 걸린 듯 수척해졌지만 일단 폭력이 사라졌으니 괜찮다. 집을 나갔던 누나도 돌아왔다.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분노가 끓어오른다.

“아무리 싫어해도 아버진 우리 아버지야.”(33쪽) 아버지에게 맞은 세월이 부지기수인 엄마의 전용 넋두리이자 누나가 가장 혐오했던 말을 이제는 누나가 하고 있다. 엄마는 감사패와 훈장을 끌어안고 있다. 죽은 아버지의 존재를 갑자기 미화하는 엄마와 누나를 향한 분노가 인다.

“그 사람이 했던 짓을 똑같이 하는구나… 닮은 얼굴로”(71쪽) 남자를 만나고 온 누나를 향해 다짜고짜 소리를 내지른 ‘나’를 향해 던진 누나의 말에 얼어붙었다. 누나와 ‘내’가 몸서리치게 싫어했던 그 말이 꽂히는 순간, ‘나’는 변화를 깨달았다. 분노와 증오에 휩싸인 ‘나’는 새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다가 ‘파키’라고 부르던 외국인 노동자 한 명을 살해하고 말았다. 어떤 욕구가 솟구쳤다. “그래, 난 한 번쯤 인간을 이렇게 패 보고 싶었어. 나만 늘 병신같이 당하란 법은 없으니까.”(226쪽) 유능한 변호사 덕에 ‘나’는 아버지를 잃은 충격 탓에 살인한 것으로 포장돼 다른 친구들보다 훨씬 관대한 판결을 받았다. 하지만 살인적인 폭력에 시달렸던 ‘나’는 이제 주변 사람들에게는 그저 살인자일 뿐이다.

청소년소설 ‘합★체’로 2010년 사계절문학상 대상을 받은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글을 쓰는 동안 우리가 사는 곳이 무수히 많은 맨홀들로 덮여 있는 것을 보았다. 이 소설은 그 많은 맨홀들 중 하나의 이야기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소설 속 ‘맨홀’은 주인공이 아버지의 폭력을 피해 누나와 숨어든 안식처인 동시에 자신이 죽인 외국인 노동자 시체를 감춰둔 곳이기도 하다. 아버지가 죽은 후 맨홀을 찾지는 않았지만 소년의 삶은 맨홀의 연속이다. 소년은 벗어나려는 의지가 부족해 맨홀을 벗어나지 못한 것인가. 구원의 빛은 혼자의 힘으로 찾아낼 수 있는가. 책은 내내 의문을 던진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8-1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