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으로 읽는 중국문화 100년/위안저·후웨 지음/김승일·정한아 옮김/선/547쪽/3만 2000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황제·요·순은 옷소매를 드리워서 천하의 통치를 이룩했는데 그 원리는 하늘과 땅의 섭리에서 얻어낸 것이다.” 중국 역사에서 옷의 꾸밈새와 빛깔이 나라의 질서를 다잡는 중요한 수단이었음을 보여 주는 말이다. 그랬던 중국의 최근 100년간의 의복사는 ‘거대한 변혁’을 겪었다. 명나라부터 청나라 말까지 중국 여성들이 입어 온 전통 치마 마면군이 1990년대 엉덩이를 겨우 가리는 미니스커트로 바뀌는 과정은 신구 세력 간 갈등, 개혁·개방으로 큰 진통을 겪었던 중국 현대사를 압축한다. 저자인 베이징복장학원 교수 부부는 옷의 변화가 낳은 문화사적 의미를 시대의 분위기, 당시 사람들의 정서를 그대로 담은 풍성한 도록을 곁들여 풀어 나간다. 저자의 마지막 되물음은 곧 책의 메시지다. “(지난날 유행 패션이었던 그 옷차림들은) 어쩌면 역사의 족적에 대해 탁본을 뜬 것이 아니겠는가, 혹독하고 파란만장했던 시대를 조각한 하나하나의 조각상이 아니겠는가?”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8-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