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인간을 먹고 자란다/마크 그레이엄, 제임스 멀둔, 캘럼 캔트 지음/김두완 옮김/흐름출판/348쪽/2만 4000원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애니메이션 스타일 사진 변환이 인기를 끌면서 하루 수백만 건의 관련 이미지가 생성되고 있다.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요청 때문에 서버가 녹아내릴 지경”이라고 언급할 정도다.
AI 기술은 단순히 오락을 넘어 일상 깊숙이 침투하고 있다. 하지만 마법처럼 보이는 AI 기술의 이면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전 세계 AI 산업 현장을 추적해 온 학자들이 10년간 30여개국을 돌며 AI가 어떻게 노동을 소외시키고 창의성을 빼앗는지 분석했다. 또한 AI 산업의 최전선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 AI가 어떻게 불평등을 심화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지도 고발한다.
저자들은 오늘날의 AI를 ‘추출 기계’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추출 기계란 인간의 지식과 감정, 창의성과 노동을 흡수해 데이터를 만들어 내고 이를 다시 알고리즘으로 가공해 이윤을 창출하는 구조적 장치를 뜻한다.
데이터는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AI가 존재하려면 보이지 않는 노동자들의 헌신이 필요하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AI 서비스는 누군가의 반복적인 클릭과 분류 작업의 결과다. 이 데이터는 인간의 시간과 감정, 판단과 신체 활동이 고스란히 스며든 노동의 산물이다.
케냐의 콘텐츠 검수자 머시는 메타의 하청업체에서 하루 수백 개의 게시물을 검토하며 폭력과 혐오를 걸러 낸다. 우간다의 데이터 주석자 애니타는 하루 10시간 이상을 컴퓨터 앞에 앉아 자율주행차 훈련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작업으로 분류한다. 3개월 계약직인 그녀는 고작 하루 1.6달러의 임금을 받는다.
아일랜드의 성우 로라는 자신의 목소리가 본인의 동의 없이 AI 훈련에 사용됐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AI가 예술성과 인간성을 추출해 이윤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예술가들의 설 자리는 사라지고 있다. 저자들은 AI의 본질과 구조를 파헤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술 감시에 대한 시민사회의 권한, 알고리즘 설계에 대한 민주적 통제, 플랫폼 노동의 법적 보호 등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책은 AI가 무엇을 가능하게 하느냐보다 무엇을 배제하고 있는지에 관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저자들은 “AI 시스템이 어떻게 구축되었으며 누구의 희생으로 유지되는지에 대한 질문이야말로 기술을 사용하는 이들이 반드시 가져야 할 책임”이라고 강조한다.
2025-05-3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