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나태주 지음, 김영사)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너무 섭섭하게 그러지 마시어요. 하느님, 저에게가 아니에요. 저의 아내 되는 여자에게 그렇게 하지 말아 달라는 말씀이에요. 이 여자는 젊어서부터 병과 더불어 약과 더불어 산 여자예요. 세상에 대한 꿈도 없고 그 어떤 사람보다도 죄를 안 만든 여자예요.”
시력 54년간 다정한 시구로 위안을 전해 온 ‘풀꽃 시인’ 나태주가 처음 엮은 산문 시집. 1971년 등단 이후 써 온 50권이 넘는 창작 시집에서 산문시만을 추렸다. 시인은 간간이 산문시를 써 왔는데, 그 산문시들이 한 권의 시집이 되기까지 반세기가 걸렸다. 표제작은 18년 전 당시 시인이 사흘밖에 살지 못한다는 의사의 이야기를 듣고 병상에 누워 자신 곁에서 간호하는 아내를 바라보며 쓴 시다. 212쪽, 1만 4000원.

귓속말 친구(조영서 지음, 우거진 그림, 책읽는곰)
“나는 소은이 귓속말이 좋아졌어. ‘너만’이라고 하니까 어쩐지 설레잖아. 하지만 내가 귓속말하기는 어려워. 소은이 귀에 바싹 붙기도 전에 말이 나오거든. 소은이는 괜찮대. 나는 듣기만 해도 된대.”
비밀을 나누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 다투더라도 다시 손 내밀 수 있는 용기라는 것을 보여 주는 동화다. 주인공 현지가 자꾸 귓속말하는 소은이에게 “왜 자꾸 귓속말하냐”고 묻자 돌아온 대답, “너만 들으라고”라는 말은 설렘을 느끼게 한다. 귓속말로 가까워지고, 마음으로 친구가 돼 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통해 친구 관계로 어려워하는 어린이들에게 위로와 응원을 건넨다. 68쪽, 1만 1000원.

악녀서(천쉐 지음, 김태성 옮김, 글항아리)
“그녀는 이처럼 내 기억 속에서 접촉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었다. 뚫어져라 쳐다보는 그녀의 눈빛 속에서 나는 자궁으로 돌아간 듯한 기분이 들었다. 그렇게 축축하고 따뜻했다. 그리고 혈맥이 확장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대만에서 첫 동성 결혼을 한 인물이기도 한 천쉐의 소설집. 1995년 대만에서 발표됐을 때 여성들 사이의 정욕 묘사가 지나치다는 이유로 숱한 논쟁을 일으키며 ‘18세 이하 열독 금지’ 딱지가 붙고 얼마 후 절판됐던 책이다. 그로부터 30년이 지나 우리나라에서 소개된다. 작가가 20대 중반에 쓴 네 편의 소설은 젊고, 욕망으로 흘러넘치며, 죽음 충동이 선명하다. 248쪽, 1만 8500원.
2025-06-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