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갇혀버린 여성… 서늘한 억압의 서사

‘몸’에 갇혀버린 여성… 서늘한 억압의 서사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5-06-20 00:59
수정 2025-06-20 0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치유의 빛/강화길 지음/은행나무/384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강화길 작가. 은행나무 제공.
강화길 작가.
은행나무 제공.


“상쾌하게 걸어 나가는 하얀 양말과 날씬한 종아리. 큰 키와 단발머리.” 경쾌한 시트콤의 대사 같다. 하지만 이런 표현이 뒤이어 나오면 단박에 엽기 서스펜스 드라마로 변한다. “살. 덩어리. 돼지 같은 년. 정말로 내가 뚱뚱해서 싫었어?” 이쯤 되면 어떤 형식의 서스펜스가 이어질 거라 예감하는 게 그리 어렵지 않다. 여자들이 자신과 타인의 몸에 대해 갖는 강박은 정말 상상을 뛰어넘는다.

새 책 ‘치유의 빛’은 강화길 작가가 4년 만에 선보이는 장편이다. 공포와 로맨스 등의 요소가 결합된 이른바 ‘고딕 소설’ 장르다. 그간 작가가 천착해 온 가족, 학교, 지방 소도시, 종교 단체 등 긴밀하고 폐쇄적인 공동체와, 동경·애증·질투·소유욕 같은 여자와 여자 사이에 발생하는 복잡한 감정을 ‘안진’이란 가상의 장소에 거침없이 펼쳐놓는다.

이미지 확대


이야기는 벗어날 수 없는 지독한 과거에서 시작된다. ‘지수’는 존재감이라곤 없는 평범한 여학생이다. 작고 깡마른 체격이 다소 도드라질 뿐, 늘 시선 밖에 머무는 아이다. 그가 주변의 시선을 끌기 시작한 건 열다섯 살 때다. 미칠 듯한 식욕으로 음식을 닥치는 대로 입에 밀어 넣기 시작한 지수는 이듬해 봄 무렵 단숨에 20㎝ 넘게 자라 거대하고 육중한 ‘덩어리’로 변한다.

살과 함께 주변의 시선도 붙기 시작한다. 가족은 부끄러워하는 시선을, 주변 사람들은 눈에 띄게 뚱뚱해진 아이를 향해 내심 경멸 섞인 시선을 보낸다. 아이러니하게도 지수가 늘 동경했으나 좀처럼 곁을 내주지 않던 친구 ‘해리아’가 그의 이름을 처음 부른 것도 이때다.

어린아이에게 쏟아진 시선은 지수를 가두는 감옥이 된다. 이제 서른둘, 어른이 된 지수는 176㎝ 키에 몸무게 50㎏ 미만이다. 뼈가 보일 정도로 마른 몸을 유지할 수 있었던 건 식욕억제제를 먹고 절식과 폭식을 오간 덕이다. 한데 몸이 약물을 견디지 못하고 통증이 지속되자 지수는 요양차 고향 안진으로 내려온다. 모두가 가까워지고 싶어 했던 예쁜 아이 해리아, 그와 자신 사이에 늘 끼어 있던 ‘신아’와도 재회한다. 그리고 마주한 자신의 과거. 떨어져 있던 시간 동안 불행은 그들 각자의 삶을 어떻게 좀먹었을까.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중요한 매개체는 ‘여성의 몸’이다. 아무리 발버둥 쳐도 벗어날 수 없는 ‘몸’을 통해 자신의 의지만으로는 어쩔 수 없었던, 타인의 시선에 둘러싸여 고통받던 억압의 역사가 서늘하게 드러난다.
2025-06-2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