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운몽’ 을사본. 국립한국문학관 제공
조선 후기의 문신 서포 김만중(1637~1692)의 ‘구운몽’ 목판본 발간 3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시 ‘꿈으로 지은 집’이 서울 종로구 탑골미술관에서 20일 개막해 다음 달 20일까지 한 달간 열린다고 국립한국문학관이 밝혔다.
김만중이 1687년 집필한 ‘구운몽’은 40년 가까이 필사본으로만 전해지다가 1725년 처음 나주에서 목판으로 제작돼 대량 유통됐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상업소설로서 외연을 갖춘 셈이다. 출간된 해인 을사년에서 이름을 따 ‘을사본’이라고도 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을사본과 함께 더 앞선 시기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노존본’도 선보인다.

이광수 ‘꿈’. 국립한국문학관 제공

최인훈 ‘광장/구운몽’. 국립한국문학관 제공
김만중의 ‘구운몽’뿐만 아니라 이광수의 소설 ‘꿈’, 최인훈의 소설 ‘구운몽’도 아울러 전시에서 소개한다. 이광수의 ‘꿈’은 ‘삼국사기’로 전해지는 ‘노신의 꿈’ 이야기에서 모티프를 따온 소설로 이광수의 친일 행위에 대해 무의식적인 죄의식을 드러내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최인훈의 ‘구운몽’은 김만중의 작품을 패러디한 것으로 복잡하고 난해한 소설로 꼽힌다. 다음 달 19일에는 이 전시와 연계해 서울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 시인 황유원, 소설가 이유리가 꿈을 소재로 한 작품을 소개하는 낭독회도 연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