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병헌 정책위의장은 24일 추석기간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와 관련,“내년 4대강 예산의 8%만 서울시의 항구적 수해 예방 비용으로 사용하면 이번과 같은 물난리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전 의장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서울시가 전날 발표한 수해예방 종합대책을 언급,“서울시내 하수도시설의 통수단면 확대와 빗물펌프장 추가 증설,빗물저류 시설 설치 등에 7천716억원이 소요된다”며 “이는 정부의 내년도 4대강 사업 예산 9조4천850억원의 8.1%로,정부는 이제라도 4대강 사업에 헛된 삽질을 멈추고 수도권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전 의장은 또 “민주당과 뜻을 같이하는 수도권 광역.기초단체장,광역의회 등과 함께 향후 한반도의 기후변화 전망 등을 토대로 수도권 수해예방 종합대책을 수립해 중앙정부의 지원을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당 강창일 의원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서울시가 전날 ‘이번 폭우가 30년에 한번 올 만한 수준이어서 피해가 컸다’는 취지로 밝힌 것과 관련,“서울시는 지난 2007년 하수관을 10년 빈도에서 30년 빈도 강우량으로 확대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며 “계획대로 하수관로를 확대했더라면 이번과 같은 피해는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전 의장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서울시가 전날 발표한 수해예방 종합대책을 언급,“서울시내 하수도시설의 통수단면 확대와 빗물펌프장 추가 증설,빗물저류 시설 설치 등에 7천716억원이 소요된다”며 “이는 정부의 내년도 4대강 사업 예산 9조4천850억원의 8.1%로,정부는 이제라도 4대강 사업에 헛된 삽질을 멈추고 수도권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전 의장은 또 “민주당과 뜻을 같이하는 수도권 광역.기초단체장,광역의회 등과 함께 향후 한반도의 기후변화 전망 등을 토대로 수도권 수해예방 종합대책을 수립해 중앙정부의 지원을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당 강창일 의원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서울시가 전날 ‘이번 폭우가 30년에 한번 올 만한 수준이어서 피해가 컸다’는 취지로 밝힌 것과 관련,“서울시는 지난 2007년 하수관을 10년 빈도에서 30년 빈도 강우량으로 확대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며 “계획대로 하수관로를 확대했더라면 이번과 같은 피해는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