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정부가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신고전화를 ‘117’로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임해규 당 정책위부의장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정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회의를 갖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당정협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되는 대책은 학교폭력 신고번호를 각 시ㆍ도경찰청이 운영하는 ‘117 학교 여성폭력 긴급지원센터’로 통합한다는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지역교육지원청의 ‘위(Wee) 센터’와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시스넷.CYSnet)를 ‘학교폭력 원스톱 지원센터’로 지정할 계획이다.
학교폭력 피해자가 117로 신고하면 전문가가 상황을 파악한 뒤 원스톱 지원센터로 지정된 위센터나 시스넷에 연락, 피해자와 접촉해 문제를 해결하고 상담과 치료를 제공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위센터나 시스넷 중 하나도 설치되지 않은 이른바 ‘사각지역’에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설치하게 하는 방안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이에 더해 위기학생 상담 프로그램인 ‘위(Wee) 클래스’를 전체 학교에 확대 설치하고 상담교사의 처우를 무기계약직으로 개선하는 등 방안도 정부측에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2일 비대위 회의에서 “급한 문제 중 하나가 학교폭력, 왕따를 당할 때 어디 믿고 상담할 수 있는 곳이나 연락을 취할 수 있는 곳이 없다는 것”이라면서 “불이 났을 때 ‘119’하면 통하듯, 학생들한테 어느 한 곳만 쉽게 기억했다가 상담을 원하면 상담사가 알려주고 대화한 것을 부모님께도 연락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었다.
연합뉴스
임해규 당 정책위부의장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정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회의를 갖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당정협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되는 대책은 학교폭력 신고번호를 각 시ㆍ도경찰청이 운영하는 ‘117 학교 여성폭력 긴급지원센터’로 통합한다는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지역교육지원청의 ‘위(Wee) 센터’와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시스넷.CYSnet)를 ‘학교폭력 원스톱 지원센터’로 지정할 계획이다.
학교폭력 피해자가 117로 신고하면 전문가가 상황을 파악한 뒤 원스톱 지원센터로 지정된 위센터나 시스넷에 연락, 피해자와 접촉해 문제를 해결하고 상담과 치료를 제공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위센터나 시스넷 중 하나도 설치되지 않은 이른바 ‘사각지역’에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설치하게 하는 방안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이에 더해 위기학생 상담 프로그램인 ‘위(Wee) 클래스’를 전체 학교에 확대 설치하고 상담교사의 처우를 무기계약직으로 개선하는 등 방안도 정부측에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2일 비대위 회의에서 “급한 문제 중 하나가 학교폭력, 왕따를 당할 때 어디 믿고 상담할 수 있는 곳이나 연락을 취할 수 있는 곳이 없다는 것”이라면서 “불이 났을 때 ‘119’하면 통하듯, 학생들한테 어느 한 곳만 쉽게 기억했다가 상담을 원하면 상담사가 알려주고 대화한 것을 부모님께도 연락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