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한명숙 첫 회동… 선거법 개정 합의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17일 2월 임시국회에서 공직선거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한나라당 박근혜(왼쪽) 비상대책위원장과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17일 국회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실에서 만나 4·11 총선에서 개방형 국민참여경선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女·女대표’에 쏠린 눈
한나라당 박근혜(왼쪽) 비상대책위원장과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17일 국회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실에서 만나 4·11 총선에서 개방형 국민참여경선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한나라당 박근혜(왼쪽) 비상대책위원장과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17일 국회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실에서 만나 4·11 총선에서 개방형 국민참여경선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박 위원장은 지난 15일 민주통합당 전당대회에서 당대표로 선출된 뒤 취임 인사차 방문한 한 대표에게 “정치가 한 단계 더 발전하려면 공천을 힘있는 몇 사람이 하는 게 아니라 국민들께 돌려드려야 한다.”고 말하고 “국민경선이 부작용 없이 정착되려면 여야가 같은 날 동시에 해야 되는데 총선까지 시간이 별로 없는 만큼 양당이 하루빨리 선거법 개정 논의를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며 관련 입법 추진을 제의했다.
한 대표도 “전략공천을 최소화하고 완전 국민참여경선을 통해 국민들이 직접 주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가 폭발적”이라면서 “(공천권을) 국민들에게 돌려드리면 국민 뜻에 맞는 공천혁명이 이뤄지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여야 대표들의 이 같은 논의에 따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18일 전체회의를 시작으로 총선에 대비한 선거법 개정 등 제도 마련에 착수할 전망이다. 다만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여야가 의견을 달리해 논의 과정이 순탄치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지난 15일 전당대회에 앞서 민주당이 최초로 선보인 모바일 투표 경선 방식을 언급하며 “모바일 투표는 많은 시민들이 접근하기 쉬워 참여가 높았다.”면서 “공천할 때에도 모바일 투표를 할 예정인데 어느 지역에 사는 사람인지를 밝히기가 어려운 만큼 정보통신망법이나 선거법 등이 개정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나라당에서는 모바일 투표가 투표 결과를 왜곡시킬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2-01-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