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경기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제적처리 문제가 논란이 된 것과 관련해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11일 “전향적 방향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세월호 희생자를 제적처리 한 것이 적절했냐”는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의 질의에 대해 “저도 보도자료를 보고 확인했다”며 “희생자 처우 문제는 보다 전향적 방향으로 검토하고, 경기도교육청에서 이런 부분에 대한 요청이 있을때 적극 협력하겠다”고 답했다.
이 부총리는 “교육부가 방치하는 사이 재학생 학부모와 희생자 유가족 사이 충돌도 있었다”는 같은 당 배재정 의원의 질타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 경기도교육청의 일이기 때문에 교육부가 직접 개입하는 것이 혼란을 가져올 수 있어 기다리고 있다”면서도 “제적 문제는 교육부가 직접 풀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단원고는 지난 2월 세월호 참사 희생학생 246명에 대해 졸업식이 있었던 1월 12일자로 제적처리 하고 미수습 실종자 4명은 유급처리 했다.
그러나 이런 조치는 유가족과 협의 없이 이뤄져 사회적 논란을 빚었고, 유가족들은 제적처리 원상복구와 책임자 사과를 요구하며 단원고 현관에서 농성에 들어간 바 있다.
이후 경기도교육청은 학적 복원 절차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이 부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세월호 희생자를 제적처리 한 것이 적절했냐”는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의 질의에 대해 “저도 보도자료를 보고 확인했다”며 “희생자 처우 문제는 보다 전향적 방향으로 검토하고, 경기도교육청에서 이런 부분에 대한 요청이 있을때 적극 협력하겠다”고 답했다.
이 부총리는 “교육부가 방치하는 사이 재학생 학부모와 희생자 유가족 사이 충돌도 있었다”는 같은 당 배재정 의원의 질타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 경기도교육청의 일이기 때문에 교육부가 직접 개입하는 것이 혼란을 가져올 수 있어 기다리고 있다”면서도 “제적 문제는 교육부가 직접 풀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단원고는 지난 2월 세월호 참사 희생학생 246명에 대해 졸업식이 있었던 1월 12일자로 제적처리 하고 미수습 실종자 4명은 유급처리 했다.
그러나 이런 조치는 유가족과 협의 없이 이뤄져 사회적 논란을 빚었고, 유가족들은 제적처리 원상복구와 책임자 사과를 요구하며 단원고 현관에서 농성에 들어간 바 있다.
이후 경기도교육청은 학적 복원 절차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