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러시아간 전체 교역량이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했지만 북한산 수산물의 수출은 늘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4일 보도했다.
코트라 모스크바무역관이 러시아 관세청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2016 1분기 러시아 북한 교역’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양국 교역액은 1712만 달러(한화 200억여원)를 기록했다고 이 매체는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교역액인 1823만 달러(213억 여원)에 비해 6.1% 감소한 것이다. 특히 북한의 대러 수입액은 134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65만 달러에 비해 약 24% 감소했다. 수입 품목별로는 유연탄(1100만 달러)과 수산물(116만 달러)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체 교역 규모는 감소한 가운데 북한의 1분기 대러 수출액은 372만 달러(43억 여원)를 기록해 지난해 57만 달러보다 6배 이상으로 크게 늘었다. 특히 북한은 해당 기간 냉동 수산물 282만 달러어치를 러시아에 수출해 1분기에 이미 지난해 전체 수출액(166만 달러) 규모를 넘어섰다. RFA는 “이런 추세라면 올해 북한의 대러 수출 규모가 지난해 수치(572만 달러)를 쉽게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코트라 모스크바무역관이 러시아 관세청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2016 1분기 러시아 북한 교역’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양국 교역액은 1712만 달러(한화 200억여원)를 기록했다고 이 매체는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교역액인 1823만 달러(213억 여원)에 비해 6.1% 감소한 것이다. 특히 북한의 대러 수입액은 134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65만 달러에 비해 약 24% 감소했다. 수입 품목별로는 유연탄(1100만 달러)과 수산물(116만 달러)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체 교역 규모는 감소한 가운데 북한의 1분기 대러 수출액은 372만 달러(43억 여원)를 기록해 지난해 57만 달러보다 6배 이상으로 크게 늘었다. 특히 북한은 해당 기간 냉동 수산물 282만 달러어치를 러시아에 수출해 1분기에 이미 지난해 전체 수출액(166만 달러) 규모를 넘어섰다. RFA는 “이런 추세라면 올해 북한의 대러 수출 규모가 지난해 수치(572만 달러)를 쉽게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