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내부서 “대통령 휴가 중 감찰은 자진 사퇴 신호”
운영위, 새달 중순 이후 가능성… 시간 벌기 분석도“우병우 민정수석은 국회 출석을 피하기 어려울 것.”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한 특별감찰이 진행 중인 가운데 여의도 정치권은 우 수석에 대한 ‘국회 소환’ 의지가 점차 강해지는 분위기다. 새누리당의 한 핵심 인사는 27일 “민심 악화나 야권의 압력이 아니라도 여권 내부에서도 우 수석의 국회 소환만큼은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는 말로 이 사안에 대한 국회 전반의 기류를 설명했다. 그는 “우 수석이 법적인 책임을 피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민정수석으로서 진경준 검사장에 대한 인사 검증에 실패했다는 점에선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휴가를 떠난 사이 특별감찰관의 감찰이 진행되는 것은 자진 사퇴하라는 신호”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인사는 “앞서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우 수석을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시킬 것’이라고 한 것은 사실상 자진 사퇴하라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민정수석이 관례를 깨고 운영위에 나오는 것 자체가 청와대로서 부담이 되기 때문에 ‘운영위 출석’ 요구는 자진 사퇴 압박용이라는 얘기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도 “브라질 리우올림픽이 열리는 8월 초까지 우 수석이 자진 사퇴하지 않으면 국회 차원에서 의혹을 직접 밝히는 절차를 밝겠다”고 경고했다. 야당 일각에서는 상임위 차원의 ‘우병우 청문회’까지 들먹이고 있다.
국회가 엄포를 놓고 있지만, 국회 운영위는 당장 열리지는 않을 전망이다. 8월 상순 임시국회가 열리지만, 우 수석에 대한 특별감찰이 종료된 뒤 8월 중순 이후에나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우 수석의 운영위 출석 요구는 오히려 시간 벌기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올림픽 기간이 겹치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 우 수석의 의혹에 대한 여론의 관심이 누그러들 가능성도 있다.
한편 여권 내부에서는 박 대통령이 휴가에서 복귀하는 다음주쯤 개각 인사를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우 수석이 교체된다면 ‘자진 사퇴’ 형식이 되겠지만, “우 수석에 대한 의혹 제기는 ‘국정 흔들기’”라는 인식도 청와대 일각에서는 여전한 만큼 유임될 수 있다. 우 수석은 자진 사퇴해 일반인 신분이 되더라도 10월쯤 예정된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있어, “우 수석은 이래저래 국회에 한 차례 다녀가야 할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날 “특별감찰관의 감찰 결과를 지켜보자”며 우 수석 사퇴론에 선을 그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6-07-2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