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 의병, 3·1운동 민초… 유공자 128명 광복절 포상

구한말 의병, 3·1운동 민초… 유공자 128명 광복절 포상

입력 2017-08-13 22:38
수정 2017-08-13 22: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영삼·김태술 선생 등 새로 인정…내일 기념식서 유족이 대신 받아

국가보훈처는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아 독립유공자로 새로 인정된 128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고 13일 밝혔다. 포상별로는 건국훈장 63명, 건국포장 16명, 대통령 표창 49명 등으로 포상은 15일 광복절 기념식에서 유족이 받게 된다.
국가보훈처는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아 독립유공자로 새로 인정된 128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고 13일 전했다. 포상은 건국훈장 63명, 건국포장 16명, 대통령 표창 49명 등이다. 오는 15일 광복절 기념식에서 유족이 받는다. 사진은 구한말 의병으로 활동하다가 붙잡힌 이영삼 선생의 옥중 순국 사실이 기록된 전주형무소 자료. 연합뉴스
국가보훈처는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아 독립유공자로 새로 인정된 128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포상한다고 13일 전했다. 포상은 건국훈장 63명, 건국포장 16명, 대통령 표창 49명 등이다. 오는 15일 광복절 기념식에서 유족이 받는다. 사진은 구한말 의병으로 활동하다가 붙잡힌 이영삼 선생의 옥중 순국 사실이 기록된 전주형무소 자료.
연합뉴스
새로 인정된 순국선열에는 구한말 의병으로 활동하다가 붙잡혀 옥중 순국한 이영삼(1875~1910) 선생이 포함됐다.

전북 임피(지금의 군산) 출신인 이 선생은 1909년 의병부대에 들어가 전북 지역에서 군수물자를 운반하던 중 일본군에 체포돼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았고 투옥된 지 약 5개월 만에 35세의 나이로 순국했다.

보훈처는 국가기록원에 있는 전주형무소 자료 등을 분석해 선생의 의병 활동과 순국 사실을 확인했다.

또 평양에서 3·1 독립만세운동을 하다가 옥고를 치른 김태술 선생, 강화도에서 3·1 운동에 참가해 태형을 받은 계기봉 선생, 1930년 광주학생운동에 동조하는 시위를 주도한 여성 독립운동가 최윤숙 선생 등도 포상을 받는다.

한편 1949년 이후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은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는 올해 포상자를 포함해 건국훈장 1만 760명, 건국포장 1212명, 대통령 표창 2807명 등 모두 1만 4779명에 달한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7-08-1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3 / 5
2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