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 회동…정개특위 구성 등 현안 거론에 일단 그쳐

여야 원내대표 회동…정개특위 구성 등 현안 거론에 일단 그쳐

강경민 기자
입력 2018-10-01 13:23
수정 2018-10-01 13: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의장 주재 정례회동…홍영표-김성태, ‘심재철 사태’ 놓고 기싸움 여전

이미지 확대
사진촬영하는 국회의장과 교섭단체 원내대표
사진촬영하는 국회의장과 교섭단체 원내대표 문희상 국회의장(오른쪽 두번째)이 더불어민주당 홍영표(왼쪽 두번째), 자유한국당 김성태(오른쪽),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와 1일 오전 국회 의장접견실에서 회동하며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2018.10.1 연합뉴스
여야 원내대표들은 1일 남북국회회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구성 등 현안을 놓고 머리를 맞댔으나 성과를 내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자유한국당 김성태,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문희상 국회의장 주재로 정례회동을 했다.

민주당 강병원 원내대변인은 비공개 회동 후 기자들에게 “(문 의장은) ‘선거제도 개혁과 관련해서 정개특위 구성과 맞물려 있으니 빨리 구성하자’고 말했고, 사개특위·남북경협특위·윤리특위 등 6개 특위를 조속히 구성하자는 얘기가 오갔다”고 설명했다.

국회 추천 몫 헌법재판관 3명의 국회 표결 처리가 여야 대치로 이뤄지지 않는 것도 회동의 의제였으나 뚜렷한 결론이 나지 않았다.

문 의장은 “헌법재판관 공백이 길어지고 있으니 빨리 처리하자”고 말했고, 홍 원내대표도 “표결을 연기해서는 안 된다”고 호응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각 당 찬반 의견이 있으면 표결을 통해서 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또 “남북국회회담에 같이 가자는 얘기를 나눴고, 전체적으로 문 의장께서 적극적으로 설득했다”며 “여당은 ‘적극적으로 같이 가자’고 했고, 김성태 원내대표는 ‘비핵화 의지가 확인돼야 하는 것 아니냐, 시간을 두고 보자’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문 의장은 특히 “남북국회회담을 아예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면 회담을 준비할 수 있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각 당이 함께하자”고 제안했다.

문 의장은 비공개 회동 전 모두발언에선 남북국회회담을 거론하면서 “통일, 안보에 관해서는 여야가 없다”며 “가능한 한 전향적으로 해서 국회회담이 성사됐으면 한다. 협치정신만 발휘하면 못할 일이 뭐가 있겠냐”고 강조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판문점선언 국회 비준동의 문제와 관련해선 “잠깐 얘기가 나왔는데 국회회담과 연계된 얘기”라고 말했다.

비인가 행정정보 무단유출 논란에 휘말린 한국당 심재철 의원을 놓고 여야 간 기 싸움도 있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심 의원실 압수수색은 의회민주주의를 훼손한 것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고, 홍 원내대표는 “(신규택지 유출 논란의) 신창현 의원실 압수수색을 했는데 우리 여당이 말 한마디 한 것을 봤느냐”고 응수했다.

문 의장은 “법치주의는 대통령도 지켜야 하니 국회가 문제화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강 원내대변인은 전했다.

김성태 원내대표는 비공개 회동 전 모두발언에서도 “헌법기관인 국회가 국정감사를 앞두고 국민을 위해 할 일을 다 했다는 것을 갖고 행정부가 헌법기관을 고발하는 행위는 헌정 역사상 유례가 없는 일로 대단히 큰 유감”이라고 말했다.

홍 원내대표는 이에 “국회가 왜 갑자기 급류 속으로 들어갔는지 참 의아스럽다”며 “상식과 원칙을 생각하면서 국회가 다시 대화와 타협, 협치할 수 있는 토대를 다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산업·특정개발 진흥지구 심의위원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21일 열린 제2회 산업·특정개발 진흥지구 심의위원회에 참석, 2024년도 산업·특정개발 진흥지구 운영 실적 종합 평가를 위한 심의에 참여했다. 이번 심의위원회는 진흥계획이 수립된 종로구, 성동구, 동대문구, 중랑구, 마포구, 영등포구 등 6개 자치구의 2024년도 운영 실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최됐다. 심의위원들은 지구 활성화 추진 체계, 지역 사회 참여 결과, 운영 실태 조사 및 개선 실적, 지구 환경 개선, 발전 가능성 등 다양한 정성 평가 항목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각 자치구는 2024년도 진흥계획 실적을 발표하고 심의위원들의 질의에 응답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김용일 의원을 비롯한 심의위원들은 각 지구의 운영 실적을 꼼꼼히 검토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심의위원회는 각 자치구의 발표 내용과 심의위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점수를 집계하고 최종심의 의결을 진행했다. 심의 결과는 향후 각 진흥지구의 운영 개선 및 발전 계획 수립에 반영될 예정이다.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산업·특정개발 진흥지구 심의위원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2 / 5
2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