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패스트트랙 최종합의 최선” 유승민 “책임 묻겠다” 강경 대응 예고 “당 자산 50억… 탈당 안 한다” 시각도
이미지 확대
눈물 보인 김관영 김관영(오른쪽)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손학규 대표와의 공동기자회견에서 울먹이고 있다. 손 대표는 울먹이는 김 원내대표를 다독였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눈물 보인 김관영
김관영(오른쪽)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손학규 대표와의 공동기자회견에서 울먹이고 있다. 손 대표는 울먹이는 김 원내대표를 다독였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선거제 개혁,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 등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둘러싸고 내홍을 분출한 바른미래당이 이미 심리적 분당 상태임에도 불편한 동거를 이어가고 있다. 패스트트랙 국면에서 바른정당계의 공격을 받은 김관영 원내대표는 30일 기자회견 도중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김 원내대표는 “패스트트랙 지정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바른미래당은 패스트트랙에 태운 개혁법안이 국회에서 협상과 타협을 통해 최종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마음 고생 때문인지 입술까지 부르튼 김 원내대표는 김동철 의원이 개혁입법의 정당성을 강조하자 참았던 눈물을 터뜨렸다. 옆 자리에 앉아 있던 손학규 대표는 김 원내대표의 등을 두드리며 위로했다.
당내 갈등에 대해 김 원내대표는 “이제는 당의 상처를 의원들이 역지사지하는 마음으로 서로 치유하자”고 했다. 단 사보임 사태로 인해 안철수계 일부가 지도부에 등을 돌린 데 대해서는 “구체적 상황을 일일이 설명하기 어려웠고 그런 점에서 서운하기도 했다”고 토로했다. 손 대표는 패스트트랙 지정과 관련, “한국 정치의 새 길을 열고 새판을 짜는 첫걸음”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유승민 의원은 “패스트트랙 처리 과정에 불법과 거짓이 분명히 있었기 때문에 그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사실상 결별 수순을 밟는 양 계파가 정작 탈당 등 행동에 나서지 않는 것은 50억원에 달하는 당 자산과 관련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오는 6월 차기 원내대표 선거를 시작으로 손 대표가 제시한 추석 전 당 지지율 10% 달성이 무산될 시 사퇴 등으로 지도부 공백을 메우는 측이 당권을 장악해 자유한국당이나 민주평화당과 당 대 당 통합을 추진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9-05-0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