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 상병 사건 진상규명 요구에 전 해병대 사령관도 동참

채 상병 사건 진상규명 요구에 전 해병대 사령관도 동참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3-09-24 14:19
수정 2023-09-24 14: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병대 예비역들은 국방부 앞에서 집회 열어

지난 7월 집중호우 당시 무리한 실종자 수색 작전으로 순직한 채 모 상병 사건을 철저하게 진상규명하라는 목소리가 해병대 예비역들 사이에 확산되는 가운데, 전직 해병대 사령관이 이에 동참해 무게를 실었다.

전도봉 전 해병대사령관은 24일 서울신문과 전화 인터뷰에서 “이제라도 채 상병 사망에 책임이 있는 사람이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주길 바란다”면서 “책임질 사람이 책임지지 않는다면 상황이 더 고약하게 흘러갈 것 같다”고 우려했다. 전 전 사령관은 1996~1998년에 제22대 해병대사령관을 지냈다.

전 전 사령관은 “부하가 상관을 위해 목숨을 바쳤다. 그렇다면 이제는 상관이 부하를 위해 목숨 바쳐야 한다”면서 “살고자 하면 죽고 죽고자 하면 살 것이고 그것이 해병대 전통과 명예를 지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이 누군지는 본인들이 가장 잘 알 것이다. 예비역이 나서서 누구누구 책임지라고 특정하는 건 맞지 않다”면서도 “채 상병 사망 직후 물러나겠다고 했다가 번복하면서 부하들, 국민이 더 분노한 것 아니냐”고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어 “이제라도 부하들을 살리고 해병대를 살리기 위해 모든 걸 내려놓고 떠나겠다고 말하면 어떨까 싶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국민 분노를 이길 수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해병대 예비역들 사이에선 채 상병의 사망은 물론,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 대한 기소에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해병대 예비역 모임인 ‘해병대 예비역 전국연대’는 지난 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채 상병 사건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아들 같은 해병의 억울한 죽음을 밝히려는 자가 처벌받아야 하느냐”며 항명 등의 혐의로 입건된 박 전 단장이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전도봉 전 해병대사령관이 지난 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앞에서 열린 해병대 예비역들 집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해병대 예비역 전국연대 제공
전도봉 전 해병대사령관이 지난 23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앞에서 열린 해병대 예비역들 집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해병대 예비역 전국연대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