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청년에게 노인문제는 부모님·미래 나의 일” 특위, 노년 부정 인식 해소하고 차별 해소방안 논의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20일 세대 간 벽을 낮추고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년의 역할이 살아있는 사회 특별위원회’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노년의 역할이 살아있는 사회 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한길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노년의 역할이 살아있는 사회 특별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연합뉴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이날 서울정부청사에서 출범식을 열고 “노인들이 지닌 경험과 지혜가 우리 사회에서 제대로 역할을 해낸다면 국가 경쟁력 면에서도 큰 힘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국민통합위원회는 특위를 출범한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으로 진입함에 따라 노인세대 내에서도 욕구와 특성이 다변화되어 노인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정책 대응이 필요한 때“라면서“노인분들은 단순히 노인들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모든 세대가 이번 특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특위는 출범에 앞서 수차례 준비 태스크포스(TF) 및 전문가 회의를 거쳐 ▲다세대 공존 사회 ▲배우고 기여하는 노년 ▲건강한 노년 ▲함께 일하는 사회라는 주된 방향을 도출했다.
특위는 이에 따라 노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고, 나이에 따른 차별 해소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생애 진로교육 강화와 건강한 디지털 문해력 제고 등을 통해 배우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도 도출할 예정이다.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연령 친화 의료시스템 등 노쇠를 예방하고 건강한 노년을 맞이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한다. 노인의 노하우와 젊은 세대의 열정이 함께 할 수 있는 세대통합형 일터를 창출하는 등 의지와 역량이 있는 노인들이 계속 일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대안 역시 모색한다.
특위에는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를 포함해 학계·현장·언론 분야 14인의 전문가가 활동한다. 특위는 ‘노인 문제 해결이 곧 청년 문제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청년 위원이 참여하여 미래 세대의 공감을 이끌어낼 방침이다.
고혜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