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수(왼쪽부터) 서울신문 사장,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차상택 베델기념사업회장이 27일 서울 마포구 양화진 외국인선교사 묘원에서 열린 독립유공자 참배 행사에서 어니스트 베델의 묘소에 참배하고 있다. 2025.2.27 홍윤기 기자
국가보훈부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3·1절을 앞두고 독립운동을 도왔던 외국인들의 묘소를 찾아 추모의 시간을 가졌다.
보훈부는 27일 서울 마포구 양화진 외국인선교사 묘원에서 독립유공자 묘소 참배 행사를 진행했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을 비롯해 김성수 서울신문 사장, 차상택 베델기념사업회장, 김동진 헐버트기념사업회장, 김대하 광복회 서울시지부장 등이 함께했다.
내빈들은 먼저 서울신문의 전신인 대한매일신보를 설립하고 우리 민족의 독립운동을 도운 어니스트 베델(1872~1909)의 묘소에 참배했다. 영국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브리스톨 출생인 베델은 16세부터 일본 고베에서 거주하며 무역업에 종사하다 1904년 한반도로 건너왔다. 일제의 만행을 목격한 그는 양기탁(1871~1938)과 함께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했고 외국인 신분을 앞세워 대한매일신보를 민족언론으로 만드는 데 일조했다. 대한매일신보의 역사는 오늘날 서울신문으로 이어져 국내 최고(最古) 언론사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김성수(왼쪽부터) 서울신문 사장,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차상택 베델기념사업회장이 27일 서울 마포구 양화진 외국인선교사 묘원에서 열린 독립유공자 참배 행사에서 어니스트 베델의 묘소에 참배하고 있다. 2025.2.27 홍윤기 기자

김성수(왼쪽부터) 서울신문 사장,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차상택 베델기념사업회장이 27일 서울 마포구 양화진 외국인선교사 묘원에서 열린 독립유공자 참배 행사에서 어니스트 베델의 묘소에 참배하고 있다. 2025.2.27 홍윤기 기자
이어 호머 헐버트(1863~1949)의 묘소에서도 참배가 이뤄졌다. 감리교 선교사인 헐버트는 고종(1852~1919)의 독립운동을 보좌하는 한편 한글 연구에도 기여했다.
김 사장은 “3·1절을 앞두고 서울신문의 전신인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한 베델 선생의 묘를 찾아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감사와 존경을 표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보훈부는 ‘독립유공자 묘소 참배 캠페인’을 비롯해 국민이 참여하는 광복 80주년 기념사업 추진과 다양한 예우정책 시행을 통해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고, 국민 ‘일상에서 보훈이 살아있는 문화’로 자리 잡도록 성심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