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 12人의 해병 北 도발 대응사격 수기 공개
지난달 23일 서해 연평도에 북한의 무차별 포격이 이뤄지던 때 전우들을 잃는 상황에서도 대응사격을 실시한 해병대 연평부대원들의 수기(手記)가 공개됐다. 해병대 사령부가 지난 13일 포격 사건 발생 20일이 지났지만 아직도 생생히 기억하는 부대원들로부터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글로 받아 그 가운데 12명이 작성한 내용의 1차 공개분이다. 포탄이 쏟아지는 전투에 참가했던 장병들이 작성한 글에는 당시의 처참하고 긴박했던 상황이 가감없이 담겨 있다. 특히 즉각 대응사격에 임했던 제7포병중대 장병들과 사상자 치료와 후송을 담당했던 의무실, 포탄이 집중적으로 낙하된 본부지역의 상황이 상세하게 묘사됐다.
연합뉴스
지난달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전투에 참가했던 해병대 연평부대 장병들이 수기를 기록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수 대위(7중대장)·하승원 대위(군종목사)·백종협 병장·박태민 상병·한훈석 상사·강병욱 이병(의무병)·윤성문 이병(의무병)·신용한 중사·안준오 중사·김영복 하사·이재선 하사.
연합뉴스
연합뉴스
귀신잡는 해병 김영복 하사도 하늘에서 날아드는 포탄 속에선 속수무책이었다. 일단 피해 포반원들의 안전을 확인한 뒤 하늘에 감사하고 대응을 준비했다. 그는 자주포의 자동포격이 불가능하자 수동으로 포격하도록 지시했다. “맞고만 당할 수 없어 억울하고, 분노에 차올라서 신속히 포탄을 준비해 반자동임무로 사격에 가담했다”면서 “솔직히 (당시 상황이)무섭기도 했지만 포반원을 살리고 싶었다.”고 당시 심정을 기록했다. 이날 북한의 포격 도발로 연평부대 소속 장병 중 2명이 전사하고 민간인 2명이 사망했다. 또 10여명이 파편에 부상을 당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파편 등으로 부상을 당한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도 의무실 주변에는 11발의 포탄이 떨어졌다. 응급조치를 받는 부상자나 치료를 하고 있는 장병들의 목숨도 위태로운 상황에 처했다. 의무실 소속 이재선 하사는 “의무실은 드라마나 영화, 뉴스에서 보던 처참한 전쟁 현장이었다.”면서 “부상당한 동료장병들의 환부를 찾아 군화를 벗겨보니 피가 쏟아졌다.”며 참혹했던 상황을 회상했다.
이 하사는 2차 폭격으로 의무실이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대피하지 않고 전우의 손을 잡고 옆자리를 지켜주던 해병의 모습도 기록했다. 연평부대에 전입한 지 3개월밖에 되지 않던 의무병 강병욱 이병은 “적의 포격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나도) 살고 싶었지만 환자를 살려야한다는 마음에 ‘모두 대피하라.’는 방송도 무시한 채 환자를 치료했다.”고 혼란했던 심정을 적었다. 그는 “하얀 천으로 덮여 있는 고(故)문광욱 일병을 구급차에 실을 때는 살리지 못한 죄책감뿐이었다.”면서 참담했던 마음을 드러냈다. 군종장교인 하승원 대위(목사)는 의무실에서 피로 얼룩진 부상자의 손을 잡고 “기도밖에 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고 당시 상황을 글로 전했다. 그는 이어 화재 진압을 위해 몸을 던졌던 백종협 병장의 뜨거운 동료애도 글로 적었다.
민간인을 살리고, 후송시키는 데 전력을 다했던 인사팀의 당시 모습은 인사과 안준오 중사의 수기에서 볼 수 있다. 연평어린이집의 유아들과 교사들을 대피시키고, 긴급물자를 대피소에 지급한 그들은 “우리는 포격의 순간에 최소한 자신의 안녕을 위해 자세를 숙이지는 않았다.”며 “전투 현장에는 사기충천한 연평부대원이, 불타는 마을에는 인사팀이 있었다.”고 당당했던 부대원들의 모습을 소개했다. K9 대응사격을 지휘했던 7중대장 김정수 대위는 “적의 기습 포격으로 타격을 받은 중대원들이 목숨을 걸고 서로 챙기며 임무를 수행해 준 게 너무 고맙고 자랑스럽다.”면서 “적이 추가도발한다면 모조리 가루로 만들어 버리겠다.”고 다짐했다.
해병대사령부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의 전투상황을 당시 전투에 참가한 장병들이 직접 기록한 수기집으로 발간해 장병 교육용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12-1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