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3차 국방전략대화 개최’핫라인’ 설치도 협의
한·중 양국 군 당국은 중국이 설정한 방공식별구역 문제에 대해 금주 중 공식 협의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백승주 국방부 차관 <<연합뉴스DB>>
특히 이번 대화에서는 중국이 지난 23일 선포한 방공식별구역 문제와 이 구역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이 중국에 재차 전달될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정부는 중국이 제주도 서쪽 상공과 중첩되고 우리 해양과학기지가 설치된 이어도까지 방공식별구역에 포함한 것을 인정할 수 없다”면서 “우리 국익에 저해되지 않는 방향으로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이어도가 포함되고 한국방공식별구역과 중첩된 부분에 대해서는 28일 한·중 차관급 전략대화에서 협의할 예정”이라며 “이 문제를 중국과 깊이 있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확인했다.
김 대변인은 “협의 내용은 (사전에) 공개하기가 곤란하다”며 “정부 간 협의 내용을 다 공개할 수 없지만, 회담 진행되는 것을 봐서 공개할 수 있는 내용이면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방공식별구역은 제주도 서쪽 상공에서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과 폭 20㎞, 길이 115㎞가량 겹쳐 있으며 이어도 상공도 포함돼 있다.
국방부는 전날 입장자료를 통해 “(중국 방공구역이) 우리 KADIZ의 제주도 서남방 일부 구역과 중첩된 것에 대해 유감으로 생각하며, 중국의 이번 조치가 우리 국익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중국 측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양국은 이번 협의에서 국방부 또는 합동참모본부(중국은 총참모부) 간에 핫라인을 설치하는 문제도 협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6월 정승조 당시 합참의장은 중국을 방문, 팡펑후이(房峰輝) 중국군 총참모장과 가진 한중 군사회담에서 국방당국간 핫라인 조기 개설 필요성을 제기했다.
당시 양측은 핫라인을 어느 곳에다 설치할지를 실무적으로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한·일, 미·중, 중·일관계가 복잡하게 꼬여가는 시점에서 열리는 한중 국방전략대화에 관심이 쏠린다”면서 “양국 국방당국간 신뢰 구축과 협력을 목적으로 국방전략대화가 시작됐지만 이번 3차 대화에서는 껄끄러운 문제도 있어 보인다”고 관측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