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6일부터 사흘간 서울에서 38개국 군 고위인사와 안보전문가, 4개 국제기구 전문가 등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는 ‘서울안보대화’에 중국은 지난해에 이어 다시 당국자를 보내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불만의 표시로 읽힌다.
30일 국방부에 따르면 올해 6회째인 이 행사에 아시아 14개국을 포함해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등 총 38개국의 차관급 국방 관료와 민간 안보전문가, 4개 국제기구의 전문가 등이 참석하기로 했지만 중국은 이날 현재까지 당국자 참석 여부를 통보해 오지 않았다. 중국은 1~4회 행사에 당국자를 파견했지만 사드 문제가 대두된 지난해부터 민간 전문가들만 참석하고 있다. 한편 ‘불확실성 시대의 안보협력 비전’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북한 핵·미사일 문제가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 국가정보국(DNI)의 마커스 갈라스커스 북한정보담당관이 참석해 북한 핵·미사일 위협 고도화 실상 등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30일 국방부에 따르면 올해 6회째인 이 행사에 아시아 14개국을 포함해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등 총 38개국의 차관급 국방 관료와 민간 안보전문가, 4개 국제기구의 전문가 등이 참석하기로 했지만 중국은 이날 현재까지 당국자 참석 여부를 통보해 오지 않았다. 중국은 1~4회 행사에 당국자를 파견했지만 사드 문제가 대두된 지난해부터 민간 전문가들만 참석하고 있다. 한편 ‘불확실성 시대의 안보협력 비전’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는 북한 핵·미사일 문제가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 국가정보국(DNI)의 마커스 갈라스커스 북한정보담당관이 참석해 북한 핵·미사일 위협 고도화 실상 등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홍환 전문기자 stinger@seoul.co.kr
2017-08-3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