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어 아시아 유일 공식 초청받아
9개국 35개팀 참가…美제외 국가팀 중 1위

사진은 1군단 특공연대 저격수팀 장제욱 중사(사수)와 박대운 상사(관측수)가 타켓을 저격하고 있는 모습이다. 2025.4.23 (육군 제공)
육군 1군단 특공연대 저격수팀은 4일부터 10일까지 미 조지아주 포트무어에서 개최된 ‘2025년 미 국제 저격수대회’에 참가해 ‘국제부문 1위’의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지난 2001년 시작되어 올해로 25회를 맞은 저격수대회는 세계 각국에서 선발된 최고의 저격수들이 모여 실력을 겨루는 권위있는 대회다.
사진은 1군단 특공연대 저격수팀 장제욱 중사(사수)와 박대운 상사(관측수)가 타켓을 저격하고 있는 모습이다. 2025.4.23 (육군 제공)
사진은 1군단 특공연대 저격수팀 장제욱 중사(사수)와 박대운 상사(관측수)가 타켓을 저격하고 있는 모습이다. 2025.4.23 (육군 제공)
대한민국 육군 저격수팀이 미국 육군이 주최한 ‘2025년 미 국제 저격수대회’에서 국제부문 1위를 차지했다.
23일 육군에 따르면 지난 4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조지아주 포트무어에 있는 미 육군 저격수학교에서 열린 저격수대회에서 한국 육군 대표로 1군단 특공연대 저격수팀이 출전했다. 박대운 상사(관측수)와 장제욱 중사(사수), 이동석 중사(코치), 9사단 장필성 상사(통역) 등 4명이 팀을 이뤘다. 이들은 지난해 제1회 국방부 장관배 국제 저격수 경연대회 준우승, 육군 최정예 300 저격수 선발, 해병대사령관배 저격수 경연대회 우승 등의 성적을 거뒀다.
저격수대회는 매년 새로운 극한 상황을 참가자들에게 부여한다. 올해는 각 팀에 지도와 좌표, 실탄 1발만을 제공하고 대항군에게 적발되지 않은 상태로 목표물 400m 이내까지 침투해 저격하거나 아군과 적군이 섞인 상태에서 선별 사격을 하는 등 여러 상황을 가정한 평가가 진행됐다.
또 저격이 불가능한 전장 상황을 가정해 소총·권총 사격으로 근접전투능력을 평가하고 사격실력 외에도 체력과 정신력 등 다양한 상황을 극복하는 전 과정이 평가됐다.

사진은 1군단 특공연대 저격수팀 장제욱 중사(사수)와 박대운 상사(관측수)가 타켓을 저격하고 있는 모습이다. 2025.4.23 (육군 제공)
육군 1군단 특공연대 저격수팀은 4일부터 10일까지 미 조지아주 포트무어에서 개최된 ‘2025년 미 국제 저격수대회’에 참가해 ‘국제부문 1위’의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지난 2001년 시작되어 올해로 25회를 맞은 저격수대회는 세계 각국에서 선발된 최고의 저격수들이 모여 실력을 겨루는 권위있는 대회다.
사진은 1군단 특공연대 저격수팀 장제욱 중사(사수)와 박대운 상사(관측수)가 타켓을 저격하고 있는 모습이다. 2025.4.23 (육군 제공)
사진은 1군단 특공연대 저격수팀 장제욱 중사(사수)와 박대운 상사(관측수)가 타켓을 저격하고 있는 모습이다. 2025.4.23 (육군 제공)
대회에는 한국을 포함해 독일과 미국, 브라질, 영국 등 9개국 35개팀이 참가했다. 한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공식 초청받았다. 국제부문은 개최국인 미국을 제외한 참가팀을 대상으로 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대회에 참가한 박대운 상사는 “세계 최고 수준의 팀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철저히 훈련하고 준비해 자신감을 가지고 대회에 임했다”며 “국제무대에서 우리 군의 저격 능력을 증명했다는 데 큰 성취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장제욱 중사는 “첫 국제대회 출전이라 약간의 두려움도 있었지만 끊임없는 훈련을 통해 다져온 우리 팀의 능력을 믿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대회에서 스스로의 한계를 시험해 볼 수 있었던 뜻깊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이동석 중사는 “세계무대의 치열한 경쟁을 경험한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며 “더욱더 실력을 갈고닦아 다음번 대회에서는 당당히 세계 정상에 서고 싶다”고 다짐했다.
육군은 이번 대회를 통해 세계 각국 저격수들의 새로운 기술과 다양한 훈련 방법을 비교·분석해 군의 교육훈련체계 발전과 편제장비·물자 개선을 위한 소요 도출에 활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미 국제 저격수대회 참가를 정례화하는 등 육군의 저격수 교육훈련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