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최근 북한 측에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과 회동하는 방안을 제안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은 김 대표에게 평양으로 직접 들어오라는 입장을 고수하는 바람에 대화가 무산된 것으로 전해졌다.
3일 미국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김 대표는 지난달 2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에 참석하기에 앞서 뉴욕 채널을 통해 김 제1부상과 제3국에서 회동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김 대표는 장기교착 상태에 놓인 북핵 문제를 해결하려면 북한이 비핵화의 진정성을 갖고 있는지를 시험해보는 탐색적 대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 같은 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은 제3국이 아닌 평양으로 들어와 대화를 갖자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김 대표는 현 시점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사절이 평양을 방문하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못한 데다 미국의 협상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점을 우려해 난색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남성욱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제3국보단 평양에서 미국 고위 관료를 만나는 것이 선전전에 더 효과적이다는 점도 북한이 평양 만남을 역제의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지금 상황이 추가적이고 적극적인 것(제안)들이 필요한지는 의문”이라며 “이런 것들보다 북한이 무리하고 합리적이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이나 요구를 철회하고 회담에 나오는 게 순서”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북한의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5·24 조치 해제 등의 요구에 대해 “사전에 이를 받아들여 회담을 열 생각은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3일 미국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김 대표는 지난달 28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에 참석하기에 앞서 뉴욕 채널을 통해 김 제1부상과 제3국에서 회동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김 대표는 장기교착 상태에 놓인 북핵 문제를 해결하려면 북한이 비핵화의 진정성을 갖고 있는지를 시험해보는 탐색적 대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 같은 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북한은 제3국이 아닌 평양으로 들어와 대화를 갖자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김 대표는 현 시점에서 미국을 대표하는 사절이 평양을 방문하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못한 데다 미국의 협상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점을 우려해 난색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남성욱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제3국보단 평양에서 미국 고위 관료를 만나는 것이 선전전에 더 효과적이다는 점도 북한이 평양 만남을 역제의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지금 상황이 추가적이고 적극적인 것(제안)들이 필요한지는 의문”이라며 “이런 것들보다 북한이 무리하고 합리적이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이나 요구를 철회하고 회담에 나오는 게 순서”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북한의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5·24 조치 해제 등의 요구에 대해 “사전에 이를 받아들여 회담을 열 생각은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5-02-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