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비핵화 협상 라인서 배제 가능성…김여정이 하던 의전도 현송월이 맡아

김 부위원장은 시 주석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난 네 차례 북중 정상회담에 모두 배석했다. 그런 점에서 이날 김 부위원장의 정상회담 불참은 예사롭지 않다.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의 여파로 김 부위원장이 비핵화 협상 라인에서 2선으로 물러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실제 김 부위원장은 지난 4월 노동당 제7기 4차 전원회의에서 장금철에게 통일전선부장직을 넘기고 당 부위원장직만 유지한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이날 회담에는 최룡해(가운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겸 국무위 제1부위원장이 김 위원장의 바로 왼쪽에 배석해 김 부위원장의 역할을 대신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최 상임위원장은 앞서 두 차례 북미, 네 차례 북중 정상회담에는 한 번도 배석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오른쪽) 노동당 제1부부장도 이날 평양 순안공항에서 열린 시 주석 환영행사에서 당 부위원장급으로 구성된 북측 간부 중 7번째 순서에 서서 시 주석과 인사를 나눴다. 그동안 김 제1부부장은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에서 김창선 국무위 부장과 의전을 총괄했지만, 이번에는 의전을 담당하는 대신 행사 참석에 머무른 것으로 보인다. 대신 이번 회담에서 김 제1부부장의 의전 역할은 현송월 삼지현관현악단장 겸 당 부부장이 맡았다.
결국 비핵화 협상의 두 주역이었던 김 부위원장과 김 제1부부장이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 역할에 변화가 생긴 것이 이번에 확인된 셈이다. 김 제1부부장은 최근 이희호 여사 별세 때 김 위원장의 조화를 직접 전달했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과의 사적 거리는 여전히 공고하지만, 회담 등 공적인 업무에서는 손을 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회담에는 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겸 국제부장과 리용호 외무상 등도 참석했다. 또 김재룡 내각총리와 김수길 인민군 총정치국장도 배석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9-06-2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