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텃밭 가꾸며 보통 시민으로 살 것”

文 “텃밭 가꾸며 보통 시민으로 살 것”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2-04-20 22:10
수정 2022-04-21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낙연 등 전직 장관 초청 오찬
“퇴임 후 현실정치 관여 않을 것”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전직 장관 초청 오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전직 장관 초청 오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가까이에 있는 통도사에 가고, 영남 알프스 등산을 하며, 텃밭을 가꾸고, 개·고양이·닭을 키우며 살 것입니다. 자연스럽게 오며 가며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청와대에서 열린 이낙연·정세균 전 국무총리,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현 정부의 전직 장관(급) 50여명과의 오찬에서 “퇴임 후 계획을 하지 않는 것이 계획”이라며 경남 양산 사저에서의 평범한 ‘촌로’(村老)의 삶을 소망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퇴임 후) 잊혀진 삶을 살겠다고 했는데 은둔 생활을 하겠다는 것은 아니고 현실 정치에 관여하지 않고 보통 시민으로 살겠다는 의미”라고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20년 1월 신년회견에서 ‘잊혀진 사람’으로 살고 싶다는 속내를 처음 내비쳤다. 지난달 30일 대한불교조계종 제15대 종정 성파 대종사 추대 법회에서도 “자연으로 돌아가 잊혀진 삶, 자유로운 삶을 살겠다”고 말했다. 지난 11일에는 트위터 팔로어가 200만명을 넘어섰다는 소식을 전하며 “퇴임하면 정치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활 이야기로 새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을까 기대해 본다”고 했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가 전방위적인 ‘문재인 정부 흔적 지우기’에 나선다면 ‘잊혀진 사람’으로 남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여전한 게 현실이다. 진영 대립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의 견고한 팬덤과 임기 말 40%대를 웃도는 지지율까지 맞물려 지지층에 의한 ‘정치적 소환’이 이뤄질 수도 있다는 맥락에서다.

문 대통령은 오찬에서 “우리는 함께 혼신의 힘을 다해 일했다”며 “북핵과 미사일 위기, 일본 수출규제 위기, 코로나 위기, 공급망 위기를 맞았다”고 회고했다. 이어 “그 위기를 잘 극복해 왔고, 기회를 만들어 도약했고, 선도국가란 평가를 객관적으로 받게 됐다. 여러분이 헌신해 준 덕분”이라고 고마움을 전했다.

2022-04-2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