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표 KAIST 총장 “특허도용 문제 명명백백 밝혀야… 수사 의뢰 검토”

서남표 KAIST 총장 “특허도용 문제 명명백백 밝혀야… 수사 의뢰 검토”

입력 2012-03-01 00:00
수정 2012-03-01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남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은 29일 서울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학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특허도용’과 관련, “누가 잘못한 것인지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며 작심한 듯 심경을 토로했다.

이미지 확대
서남표 KAIST 총장
서남표 KAIST 총장
●“나부터 뭘 잘못했는지 조사받을 생각”

또 “학내 연구진실성위원회나 객관성을 가진 조직,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면서 “총장부터 무엇을 했는지 뭘 잘못했는지 먼저 조사받을 생각”이라고 했다. “한국 대학이나 KAIST 발전을 위해 명명백백하게 다 공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말했다. KAIST 교수협의회는 최근 서 총장이 특허권을 갖고 있는 모바일 하버 사업이 실제로는 박모 교수의 권리를 무단으로 빼앗은 것이라는 취지의 성명서를 냈다. 학교 측은 이에 대해 “사실관계가 명확하며 증거를 갖고 있다.”고 법적 대응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교수협과의 갈등으로 인한 자진 사퇴설, 해임설과 관련해 “아직까지 목표를 다 이루지 못했다.”면서 “처음 한국에 들어올 때 떠날 때는 분명히 한국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남기고 가겠다고 결심했고 지금도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중도 사퇴는 있을 수 없다는 얘기다. 2006년 부임해 2010년 연임한 서 총장의 임기는 2014년 7월까지다.

●“아직 한국에 도움 되려는 목표 다 이루지 못해”

“언제쯤 그 목표가 이뤄질 것 같으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앞으로 5년 정도면 KAIST가 세계적인 대학의 반열에 오를 것으로 보이지만 아마 그때는 내가 없을 것 같다.”며 아쉬워했다. 이어 “떠날 비행기 티켓은 끊어놓은 상태”라며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서 총장은 지난 5년간의 성과 가운데 ▲우수 교수진 확충 ▲선도적 KAIST 인사제도 ▲재정 건전성 확보 ▲국제적 시설 인프라 확충 등을 핵심으로 꼽았다. 또 “2006년 이후 채용된 신진 교수는 279명으로 50세 미만의 교직원이 전체의 50.3%에 이른다.”면서 “연구비 역시 2006년보다 200%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공학이나 정보기술(IT) 분야의 경우 논문의 질적 우수성이 미국 톱 5 대학과 비슷한 수준이고 자연과학 분야의 특급 논문도 2006년 대비 2배 늘었다.”고 했다.

●“5~7년후면 KAIST에서 노벨상 수상자 나올 것”

서 총장은 “젊은 교수들을 살펴보면 깜짝 놀랄 만한 사람들이 있고 그중에서 5명 정도는 분명 노벨상을 수상할 것으로 본다.”면서 “앞으로 5년에서 7년 후면 분명 KAIST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온다.”고 확언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김용일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협회 서대문지회 정기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3일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한국외식업협회 서대문지회 제60회 정기총회에 참석했다. 이날 김 의원은 요식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총회에는 이성헌 서대문구청장, 송주범 국민의힘 당협위원장(전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문성호 서울시의원을 비롯한 다수의 구의원이 참석했다. 또한 시장, 구청장, 서울시의회 의장, 구의회 의장 표창 등 공로상 수여식이 진행됐으며,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의장상을 대리 수여했다. 김 의원은 “서대문구 남·북가좌동은 베드타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스토리가 있는 일상 보행권의 부활을 통해 골목 상권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라며 “홍제천, 불광천, 포켓 공원, 남이동길, 거북골길, 해담는 다리 등 이야깃거리가 있는 골목 경제가 살아나야 서민 경제가 살아나고, 서민 경제가 살아나야 비로소 지역 경제가 활성화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신용보증재단을 소관 기관으로 두고 있는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위원으로서 함께 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협회 서대문지회 정기총회 참석

2012-03-0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