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명의 日인,새벽 독도연구소 앞에 슬그머니…

두명의 日인,새벽 독도연구소 앞에 슬그머니…

입력 2012-08-28 00:00
수정 2012-08-28 1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대협·독도硏 말뚝테러 일본男 2명 소행”

최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와 독도연구소 건물 앞에 ‘말뚝 테러’를 저지른 용의자는 60대와 30대 일본 남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 서대문경찰서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내사 결과를 발표하고 피해 단체로부터 고소장이 접수되면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성산동 정대협 건물과 독도연구소가 있는 서대문구 미근동 임광빌딩 앞에 말뚝과 전단 등을 부착한 용의자는 일본에 거주하는 A(61)씨와 B(38)씨다.

경찰 조사 결과 A씨는 범행 전날인 21일 하네다 공항을 출발하는 대한항공편을 이용해 오전 11시51분쯤 김포공항에 도착했다. B씨는 아시아나항공편으로 하네다를 출발해 오전 11시23분쯤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이들은 서울 중구 L호텔과 K호텔에 각각 투숙한 뒤 이튿날 오전 5시쯤 호텔을 나섰다. 각각 택시를 타고 이동한 이들은 독도연구소 소재 임광빌딩 앞에서 만나 말뚝을 설치하고 정대협으로 따로 이동해 말뚝과 전단을 부착한 것으로 확인됐다. 범행 뒤 A씨는 오전 9시13분 출발한 대한항공편을, B씨는 오전 8시40분 출발한 아시아나편을 타고 일본 하네다로 도주했다.

A씨는 1995년 이후 다섯차례 관광 목적으로 한국에 단기체류한 적이 있으며 B씨는 이번이 첫 방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독도연구소에서만 고소 의사를 밝힌 상황”이라며 “고소장이 접수되면 용의자들의 범죄사실을 출입국관리사무소에 통보하고 스즈키 노부유키와의 관계도 수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 22일 오전 정대협과 독도연구소 소재 건물 앞에서 ‘다케시마는 일본땅’이라고 적힌 말뚝과 위안부를 비하하는 내용의 전단이 발견됐고 스즈키는 블로그를 통해 이 테러를 자신이 주도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스즈키는 지난 6월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맞은편에 세워진 일본군 위안부 평화비(소녀상) 옆에 유사한 말뚝을 놓고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해 물의를 일으킨 장본인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서울시의회가 급변하는 국내외 에너지·환경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서울시 에너지 정책의 장기적 비전과 실행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이하 특위) 구성을 추진한다. 김규남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송파1)이 12일 ‘서울시의회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위 구성 결의안은 급성장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에너지 산업을 서울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한 종합 전략 마련을 위해 발의됐으며 27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현재 서울시는 에너지의 90% 이상을 외부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기차·데이터센터·AI 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도심 밀집 구조 속에서 전력기반 시설이 노후화되어 안전성과 효율성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32년 만에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을 분리해 ‘기후에너지부’ 또는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신설을 추진하는 중앙정부 개편에 발맞춰,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에너지 정책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김 의원은 “AI산업 확대와 데이터센터 증가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안정적 전력 공급
thumbnail -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