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6% “학생들 더불어 사는 능력 낮다”

국민 76% “학생들 더불어 사는 능력 낮다”

입력 2012-09-03 00:00
수정 2012-09-03 11: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직성도 낮아…학생 40% “학교 그만두고 싶다 생각”

우리 국민 10명 중 8명은 학생들이 나눔과 배려 등 ‘더불어 사는 능력’이 낮다고 생각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교육과학기술부는 7월23일부터 한 달간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교과부 웹사이트 등을 통해 실시한 인성교육 대국민 설문조사에서 ‘신뢰, 협력, 참여 등 학생들의 더불어 사는 능력’을 묻자 75.6%가 ‘낮다’(58.0%) 또는 ‘매우 낮다’(17.6%)고 응답했다고 3일 밝혔다.

네이버 등 설문조사에는 8만3천608명이 참여했다.

교과부는 7월6일부터 19일간 전국 500개 학교 학생, 교사, 학부모 5만7천902명을 상대로 실시한 인성교육 실태조사에서도 같은 질문에 62%가 낮은 편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학생은 53.7%, 학부모는 64.2%, 교사는 80.3%가 부정적인 답변을 했다.

’학생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아니다’(52.9%), ‘전혀 아니다’(7.5%)등 60.4%가 학생들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학생들이 정직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도 44.8%가 ‘아니다’, 7.0%가 ‘전혀 아니다’라고 답하는 등 51.1%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학교 대상 인성교육 실태조사에서 학생 응답자 3만1천364명 중 40.3%는 ‘평소 학교를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학업성적(41.8%)’ 때문이라는 답변이 제일 많았고 ‘재미없는 학교생활(22.1%)’, ‘친구관계(13.5%)’, ‘선생님과의 문제(6.1%)’ 순이었다.

고민이 있을 때 먼저 상담하는 대상은 학생 중 43.1%가 친구를 꼽았다. 부모와 의논한다는 학생은 30.1%였고 혼자 고민한다는 답도 18.2%나 됐다. 교사를 상담 상대로 택한 학생은 2.8%에 불과했다.

고민 상담 수단으로는 학생 중 26.6%가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통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쓴다고 답했다.

반면 부모 1만5천258명과 학부모 1만1천280명 중 학생과 SNS로 소통한다는 이들은 각 10.3%와 7.1%에 그쳤다.

학생들이 봉사정신, 배려, 갈등관리 능력이 뛰어난지를 묻는 항목에서는 ‘그렇다’는 답변이 학생과 학부모가 80∼90%에 달했지만 교사는 30∼40%대에 그쳐 큰 격차를 보였다.

고등학교나 대학교 선발 과정에서 인성 측면을 강조하는 것에 대해서는 학생의 89.3%, 학부모 96.6%, 교사 97.3%가 ‘바람직하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과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인성교육 실천과제를 발굴하는데 적극적으로 반영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