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용린 인권조례 수정발언 의회 무시한 것”<시의원>

“문용린 인권조례 수정발언 의회 무시한 것”<시의원>

입력 2013-01-24 00:00
수정 2013-01-24 14: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홍이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은 24일 “문용린 서울교육감이 언론 인터뷰를 하면서 학생인권조례의 잘못된 부분은 수정보완하겠다고 했는데 이는 의회를 무시한 일방적인 발언”이라고 주장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문 교육감이 인권조례 개정안을 발의하더라도 시의회 교육위원회와 본회의에서 논의를 거쳐야만 조례를 개정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교육감은 당선 이후 학생인권조례와 관련해 “교사가 생활지도할 때 가장 어려움을 겪게 하는 조항이 무엇인지 파악해 고쳐나가도록 하겠다”고 여러 차례 개정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서울시의회는 재적의원 104명 가운데 문 교육감에 비판적 성향이 강한 민주당 의원이 77명으로 3분의 2를 넘는다.

최 위원장은 혁신학교와 관련해서도 “학부모들이 혁신학교를 원하고 있는데도 천왕중과 우솔초를 추가 지정 대상에서 제외한 것은 문 교육감이 교육적 판단이 아닌 정무적 판단을 한다는 증거”라며 “지금이라도 두 학교에 대한 공모절차를 거친다면 교육청에 협조하겠지만 그렇지 않겠다면 혹독한 검증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태 교육의원도 “곽노현 전 교육감이 물러나고 이대영 부교육감이 권한대행으로 있던 11~12월 교육청이 혁신학교에 대한 평가를 이미 했다”며 “평가 결과가 있는데도 문 교육감은 다시 1년간 평가를 하겠다며 불필요한 예산을 들이려 한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이 공개한 서울시교육청 평가결과에 따르면 혁신학교로 지정된 지 2년 미만인 35개교를 대상으로 한 연차평가에서 학부모 만족도는 초등 86.09, 중등 75.65, 고등 74.29로 나왔으며, 학생만족도는 초등 84.09, 중등 70.62, 고등 66.3으로 나타났다.

지정 2년차 23개교를 대상으로 한 중간평가에서는 학부모 만족도가 초등 85.15, 중등 73.5, 고등 73.1로, 학생만족도가 초등 83.71, 중등 69.2, 고등 69.2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경기도에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온 데 이어 서울에서도 혁신학교의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고 평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