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살 때 맞은 북한군 총알 63년 만에 심장 옆에서 꺼내 “아이에게 총 쏘는 비극 끝내야”

여섯살 때 맞은 북한군 총알 63년 만에 심장 옆에서 꺼내 “아이에게 총 쏘는 비극 끝내야”

입력 2013-08-05 00:00
수정 2013-08-05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경택씨 총탄제거술 성공

1950년 10월 강원도 양양군의 한 야산에서 여섯살 꼬마는 밭일하는 아버지를 따라 나섰다가 어디선가 울리는 총성에 정신을 잃었다. “북한 인민군이 우리 아들을 쐈다”는 아버지의 외침만 희미하게 들렸다. 꼬마는 기적처럼 목숨을 건졌다. 그러나 총알(아래)은 60년 세월, 몸 안에 고스란히 상처로 남았다.

이미지 확대
오경택씨 연합뉴스
오경택씨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제 편합니다. 그 긴 세월 몸에 지니고 다녔다는 게 기적 같은 일이죠. 어린 아이에게 총을 쏠 만큼 비극적인 일이 다시는 없길 바랍니다.”

4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에서 만난 오경택(위·69)씨는 그간 쌓인 억울함에 눈물부터 쏟았다. 오씨는 지난달 29일 이 병원에서 총탄 제거술을 받았다. 63년 만이었다. 호흡곤란과 가슴 두근거림 때문에 병원을 찾은 오씨의 병명은 ‘교착성 심낭염’이었다. 병원에서 짚은 원인은 우심방 옆 탄두였다. 엑스레이와 컴퓨터 단층촬영(CT) 필름에는 심장 바로 옆 경계선에 총알 모양의 금속성 물체가 선명하게 찍혀 있었다.

오씨는 그동안 몇번이나 병원을 찾았지만 “제거하려면 위험하니 그대로 사는 게 낫다”는 말을 듣고 발길을 돌렸다. 35년간 군 복무를 마치고 원사로 전역한 오씨는 “내 몸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긴 그들로부터 이 나라와 다른 사람을 지키고 싶다는 각오가 컸다”고 말했다.

그의 몸에서 나온 총알은 길이 1.6㎝.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당시 북한군이 사용한 소련제 기관단총 PPSH-41의 탄약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주치의 엄재선 교수는 “당시 총알이 폐와 심장 사이를 아슬아슬하게 스쳐 심장 바로 옆에서 멎는 바람에 기적적으로 살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1㎜라도 더 들어갔으면 위험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3-08-0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