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행정관 신병확보 실패 ‘채동욱 의혹’ 수사 난항

靑행정관 신병확보 실패 ‘채동욱 의혹’ 수사 난항

입력 2013-12-18 00:00
수정 2013-12-18 16: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법원, 부실수사 논란에 ‘부채질’…검찰 “부실 기각” 성토

청와대 총무비서관실 조오영(54) 행정관과 서울 서초구청 조이제(53) 행정지원국장 등 채모군 개인정보 불법열람 사건의 핵심인물들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면서 검찰이 안팎으로 곤란한 처지에 빠졌다.

관련자들이 잇따라 말을 바꾸고 엇갈리는 진술을 하며 ‘진실게임’을 벌이는 상황에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윗선’ 또는 ‘몸통’을 밝히는 게 검찰의 과제다. 그러나 조 행정관 등의 신병 확보에 실패함에 따라 구속에 따른 심리적 압박감을 이용해 거짓 진술을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당분간 접게 됐다.

검찰은 관련자들을 ‘격리’해 말 맞추기와 증거인멸 시도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복안이었다. 배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채군의 가족관계등록부가 불법 열람될 당시의 사실관계를 명확히 재구성하는 게 급선무다.

그러나 조 국장은 열람 내용을 문자로만 알려줬다고 진술하는 반면 조 행정관은 개인정보 전달의 수단으로 팩스를 언급하고 있다. 검찰은 서초구청을 압수수색하며 수사를 본격화한 지 한 달이 다 되도록 이런 기초적인 사실마저 밝히지 못한 상태다.

게다가 조 행정관이 채군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등을 문자메시지로 넘겨준 시각보다 2시간여 전에 이미 서초구청에서 가족부가 조회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건은 완전히 오리무중에 빠졌다. 심지어 조 행정관과 조 국장을 거치는 가족부 열람 요청의 구조가 실제 몸통을 숨기기 위해 계획된 ‘위장전술’이라는 추측이 나오는 등 의혹만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조 행정관은 ‘제3의 인물’이 있다고 진술하면서도 납득할 만한 인물을 대지는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의 말이 워낙 오락가락해온 만큼 그대로 믿기도 어렵다.

이 때문에 검찰은 실제 가족부를 조회한 서초구청 직원이 조 행정관의 말대로 팩스를 보냈는지, 팩스가 발송됐다면 받은 사람은 누구인지, 현재까지 드러난 관련자들 이외에 누군가 서초구청을 직접 방문해 열람을 요청하지는 않았는지 등 구체적 진상 규명이 절실한 상황이다.

다시 불거지는 부실수사·봐주기 논란도 부담이다.

검찰은 수사 초기 불법열람을 부탁한 것으로 지목된 행정안전부 김모(49) 국장과 서초구청 등을 압수수색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윗선’과 가장 근접해 보이는 인물인 조 행정관에 대해서는 네 차례 소환해 진술을 받았을 뿐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에는 나서지 않았다.

이 때문에 검찰이 청와대의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조 행정관에 대한 의혹이 불거지자 청와대가 지난 4일 서둘러 발표한 감찰 결과를 ‘가이드라인’으로 삼아 수사를 좀처럼 진전시키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검찰 안팎에서는 지난 13일 청구한 두 건의 사전구속영장 가운데 최소한 조 행정관의 영장은 발부될 것으로 예상했다. 조 행정관은 처음에는 의혹을 전부 부인하다가 정부부처 국장을 ‘윗선’으로 지목했다. 수사가 진행되자 이마저도 번복하는 등 시종일관 오락가락하고 있어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검찰은 판단했다.

그러나 법원은 검찰 수사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취지로 영장을 기각했다. 서울중앙지법 엄상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현재까지 범죄혐의가 소명된 정도 등에 비춰볼 때 현 단계에서 구속수사의 필요성과 상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했다.

법원이 영장 발부 여부를 밝히면서 이렇게 수사의 진행 경과를 지적하는 표현을 쓰는 일은 흔하지 않다. 검찰로서는 수사를 더 해오라는 말로 들릴 수밖에 없다.

검찰은 부실수사 논란을 의식한 듯 강한 어조로 법원을 성토했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18일 “기각 사유가 선뜻 이해되지 않는다. ‘부실기각’이 아닌가 싶다”며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이 관계자는 “소명하기 위해서 구속하겠다는데 앞뒤가 바뀐 것 같다”며 ‘소명 정도’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