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충 전국 확산…3년내 소나무 사라질수도”

“재선충 전국 확산…3년내 소나무 사라질수도”

입력 2015-01-26 09:00
수정 2015-01-26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의 방제 대책에도 소나무를 고사시키는 재선충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6일 환경운동단체인 녹색연합 등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으로 재선충 피해는 전국 72개 시·군으로 퍼진 상태다.

2011년 46개, 2012년 50개, 작년 64개 시·군으로 확산했다.

피해 나무 수만도 2010년 13만 그루에 그치던 것이 2012년 52만 그루, 2013년에는 218만 그루까지 늘어났다.

0.6㎜∼1㎜ 크기의 머리카락 모양인 재선충은 소나무의 수분 이동통로를 막아 나무를 고사시킨다. 재선충병은 소나무 에이즈로도 불린다.

2013년 9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하기 시작한 재선충은 정부의 방재작업에도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는 물론 백두대간까지 번지고 있다.

작년 강원도 정선과 경북 영주 등에서 나타났고, 울진·삼척과 함께 우리나라 금강송의 고향인 태백산을 포위하고 있다.

남해안에서는 김해와 거제, 울산, 마산, 창원, 진주까지 퍼지고 있고, 남해안고속도로 주변은 아예 붉은색 소나무 전시장이 되고 있다고 녹색연합은 밝혔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경북 경주시 양동마을 주변은 물론 광양과 순천 등 전남지역, 경기 광주와 포천까지 번져 북한산국립공원까지 위협하고 있다.

녹색연합은 “2013년 9월 창궐한 재선충 차단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대대적인 방제작업을 벌여 작년 5월 산림청이 차단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작년 여름부터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며 “피해 나무와 잔가지까지 현지에서 훈증하거나 외부로 반출해 파쇄 또는 소각처리해야 하는데 이런 원칙이 안 지켜졌다”고 주장했다.

녹색연합은 “이런 추세이면 앞으로 3년 안에 소나무가 한국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