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라고 불러줄 사람도 없는데”…카네이션 단 위안부 할머니들

“엄마라고 불러줄 사람도 없는데”…카네이션 단 위안부 할머니들

입력 2015-05-08 14:28
수정 2015-05-08 14: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피해 할머니 쉼터 ‘평화의 우리집’서 어버이날 행사

“엄마라고 불러줄 사람 하나 없는 우리에게 이런 인연이 돼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버이날인 8일 서울 마포구의 한 주택가. 조용한 평일 낮에 유독 북적이는 한 집이 있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해 마련한 쉼터 ‘평화의 우리집’(이하 우리집)이었다.

어버이날인 8일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쉼터인 서울 마포구 연남동 ‘평화의 우리집’에서 열린 위로 행사에서 한 학생이 길원옥 할머니에게 카네이션을 달아주고 있다.  연합뉴스
어버이날인 8일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쉼터인 서울 마포구 연남동 ‘평화의 우리집’에서 열린 위로 행사에서 한 학생이 길원옥 할머니에게 카네이션을 달아주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집은 그간 일부 봉사자들만 드나들었을 뿐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다. 할머니들의 일상과 휴식을 지킬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올해 어버이날을 맞아 할머니들의 동의를 거쳐 처음 언론에 공개됐다.

이곳에서 생활하는 군 위안부 피해자는 이순덕(97), 김복동(89), 길원옥(89) 할머니 등 3명이다. 이순덕 할머니는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에 입원해 이날 함께하지 못했다.

이날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와 함께한 이들은 정대협 활동가들을 비롯해 ‘평화나비’ 등 관련 활동을 하는 대학생·청년단체 회원들, 평소 할머니들의 건강을 관리하는 의료진 등 70여명이었다.

김복동 할머니는 모인 이들에게 “이 세상 하늘 아래 엄마라고 불러줄 사람 하나 없는 우리에게 이런 인연이 돼주셔서 감사하다”며 눈물을 흘렸다.

김 할머니는 “우리가 죽기 전 하루빨리 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해명이 이뤄지고 남북통일로 전쟁 없는 나라, 평화의 나라가 돼 후손들이 마음 놓고 자라 이 나라를 지키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할머니들이 쉬는 공간으로 닫아두다 보니 할머니들이 이곳에서 어떻게 지내시는지 궁금해하는 분이 많았다”며 “할머니들도 조금은 서운한 구석도 있었다고 하셔서 가정의 달을 맞아 이런 날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할머니들의 주치의 윤영식 박사가 건반으로 연주하는 ‘어머니의 마음’이 흐르는 가운데, 참석자들은 “오래 사세요”, “건강하세요”라는 말과 함께 할머니들에게 카네이션을 달아주며 선물을 건넸다.

색색의 꽃무늬 셔츠, 향수, 케이크, 편지 등 수많은 선물을 받아든 할머니들은 입가에 웃음을 띤 채 참석자 하나하나를 꼭 끌어안았다.

두 할머니는 모인 이들에게 직접 한 자락 노래를 불러주며 고마움을 나타냈다. 김 할머니가 ‘내 나이가 어때서’와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길 할머니가 ‘눈물 젖은 두만강’을 부르자 참석자들은 큰 환호와 갈채를 보냈다.

1시간가량 계속된 행사는 참석자들이 함께 손으로 하트 모양을 만들며 “할머니, 사랑해요. 할머니, 건강하세요”라고 외치는 것으로 끝났다. 두 할머니도 손으로 하트 모양을 만들며 활짝 웃었다.

이날 참석한 새정치민주연합 이미경 의원은 “개인적으로 이곳에 몇 번 온 적이 있지만 어버이날을 맞아 젊은 친구들이 할머니들을 찾아뵌 것은 정말 뜻깊은 행사”라며 “할머니들을 진정으로 사랑해 주는 아들과 딸들이 생긴 셈”이라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