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은 안되고 광대는 되나”…88고속도로 새 이름 논란

“달빛은 안되고 광대는 되나”…88고속도로 새 이름 논란

입력 2015-12-09 15:33
수정 2015-12-09 15: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토교통부가 확정한 88고속도로 새 이름 ‘광대고속도로’가 여전히 논란거리다.

88고속도로는 오는 20일 확장 개통과 함께 정식 명칭이 ‘광주대구간고속도로’로 바뀐다.

대구시와 광주시가 희망한 ‘달빛고속도로’는 감성적이고 추상적이라는 이유로 국토부가 선택하지 않았다고 한다.

두 자치단체는 동서화합 차원에서 달구벌(대구)과 빛고을(광주)의 첫 글자를 따 ‘달빛’을 제안했다.

9일 열린 대구시의회 본회의에서 최광교 의원은 5분발언을 통해 국토부의 ‘중앙집권적 사고’와 대구시의 소극적인 대응을 지적했다.

최 의원은 “달빛고속도로는 화합하고 동반 발전하는 새로운 시대 개막이라는 역사적 상징성을 담고 있어 사회경제적 가치가 상상을 초월한다”며 “국민 화합이 필요한 시기에 국가적 화두를 제시한 것인데 중앙정부가 가치를 알아보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토부가 기점과 종점을 서쪽에서 동쪽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했으나 예외가 얼마든지 있다”며 경인고속도로·제2경인고속도로(동→서), 신대구부산간고속도로(북→남)를 사례로 들었다.

동해고속도로(부산∼울산, 양양∼동해), 중앙고속도로(춘천∼대구), 88고속도로도 기점·종점과 관계없이 예외를 적용한 이름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국토부가 6개 지자체 합의를 요구한 것은 달빛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의도다”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낭만적인 이름이 붙은 고속도로로 국민 사랑을 받을 수 있는데, 달빛은 안 되고 우스꽝스런 광대는 된다는 국토부 관계자의 머릿속을 들여다보고 싶다”고 성토했다.

또 “대구시가 적극 주장하고 당위성을 설명했으면 예외를 적용할 수 있었다. 광대 명칭은 두고두고 지역민에게 아쉬움으로 남게 될 것이다”고 꼬집었다.

최유희 서울시의원 “대법원 판단 환영…기초학력 저하 외면 안 돼”

서울시의회 최유희 의원(국민의힘, 용산2)은 대법원이 ‘서울시교육청 기초학력 보장 지원에 관한 조례’에 대해 적법하다고 판단한 데 대해 “기초학력 저하 현실을 외면하지 말라는 국민의 상식에 부합한 판결”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해당 조례는 코로나19로 인한 학습 결손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2023년 서울시의회에서 제정된 것으로, 서울 지역 초·중·고등학교에서 시행된 기초학력 진단평가 결과를 지역별 및 학교별로 공개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을 핵심 내용으로 담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교육청은 조례 공포 직후 “학교 서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이유로 법원에 집행정지를 신청했고, 이로 인해 조례의 효력은 2년 가까이 정지된 상태였다. 대법원은 장기간의 심리 끝에 서울시의회의 손을 들어주며 “학교 교육에 대한 주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관심과 참여를 유도해 궁극적으로 기초학력을 신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판시했다. 또한 학교별 결과 공개가 서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학교 명칭을 익명 처리하면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라며 조례의 정당성과 공익성을 인정했다.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최유희 의원은 이번 대법원 판결에 대해
thumbnail - 최유희 서울시의원 “대법원 판단 환영…기초학력 저하 외면 안 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2 / 5
2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