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 현황
최근 2개월 이내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 질병관리본부 제공
27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K씨는 지난 10~14일 4박5일간 필리핀 여행을 했다. 필리핀에서 머문 지역은 공항이 있는 칼리보와 보라카이다. K씨는 질본에 여행 중 모기에 물린 적이 있다고 말했다. 필리핀 중부에 있는 섬 보라카이의 한국인 여행객은 연간 10만명이 넘는다.
질본은 최근 2개월간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가 발생한 45개 국가를 유행국가 혹은 산발적 발생국가로 분류하고 있는데, 아시아에서는 베트남과 필리핀 2곳이 각각 유행국가와 산발적 발생국가에 해당한다.
산발적 발생국가는 동일지역에서 발생한 환자수가 10명 미만인 경우다. 유행국가는 환자수가 10명 이상이거나 2개 지역에서 환자가 발생한 경우,2달 이상 발생이 지속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질본은 해외 여행자에게 홈페이지(www.cdc.go.kr)를 통해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발생국가를 확인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질본은 K씨를 통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지역사회 추가전파 가능성은 극히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아직 모기의 활동이 활발한 기간이 아닌 만큼 ‘사람-모기-사람’ 경로로 전파될 가능성은 극히 적다. 지카바이러스의 매개가 되는 모기인 흰줄숲모기는 전체 모기의 3% 수준으로 적은 편이다.
감염자를 문 뒤 바이러스 감염 상태가 된 흰줄숲모기가 다시 사람을 물어 감염을 시키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확률이 높지는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