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구조조정에도 울산 임금 ‘전국 1위’…월 429만원

조선업 구조조정에도 울산 임금 ‘전국 1위’…월 429만원

입력 2016-09-19 13:34
수정 2016-09-19 1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주는 256만원 ‘최하위’…‘수주 절벽’에 울산 임금 상승률은 가장 낮아

조선업 구조조정에도 울산의 평균 임금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대기업 제조업체가 밀집한 덕분이다. 저임금 업종인 숙박·음식업이 많은 제주는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1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6년 4월 기준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1인당 임금총액을 16개 시·도별로 보면 울산시가 428만 9천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국 평균(341만 6천원)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타격을 입긴 했지만, 자동차·선박·기계 등 대규모 제조업체와 그 협력업체가 밀집한 덕분에 울산시의 임금총액은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이어 서울시가 383만 3천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고임금 업종인 금융·보험,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등이 서울에 집중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대기업 제조업체가 있는 충남(352만 3천원)과 전남(346만 6천원)도 전국 평균보다 높은 임금총액을 기록했다.

제주도는 256만 4천원으로 전국 시·도 중 임금총액이 가장 낮았다. 제조업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낮고,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숙박·음식점업 등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국 평균 임금(=100)을 기준으로 시·도별 상대임금 수준을 살펴보면 울산시는 전국 평균의 125.5%, 제주도는 75.1%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한 4월 임금 상승률은 충청북도가 5.4%로 가장 높았다. 반도체, 화학 등 호황을 누리는 제조업체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광물자원공사, 대한석탄공사, 대한적십자사, 한국관광공사, 한국광해관리공단 등 공기업 이전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강원도도 4.8%의 높은 임금 상승률을 나타냈다.

반면에 ‘수주 절벽’으로 조선업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울산시(1.4%)와 조선 기자재업체 및 해운업체의 불황이 이어지는 부산시(1.6%)는 전국에서 가장 낮은 임금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3.4%)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4월 기준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충청북도(185.6시간)와 경상남도(184.4시간)가 가장 길었다. 서울시(168.0시간)는 가장 짧았다.

충청북도와 경상남도는 근로시간이 긴 제조업 근로자 비중이 높은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금융·보험업, 전문서비스업 등 상대적으로 근로시간이 짧은 근로자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근로시간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조선업 수주 급감에 시달리는 울산시(-15.0시간)였다.

고용부 관계자는 “업종별 경기 상황에 따라 임금 수준과 상승률의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보인다”며 “산업별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거나, 대표 업종이 불황을 겪는 지역은 당분간 임금 상승률이 낮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