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냥이’ 수난시대…서울서 연간 5천마리 ‘로드킬’ 당해

‘길냥이’ 수난시대…서울서 연간 5천마리 ‘로드킬’ 당해

입력 2016-09-27 07:22
수정 2016-09-27 07: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에서 차에 죽는 고양이가 매년 5천 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로드킬’(road kill) 사고를 당한 동물 10마리 가운데 8마리가 고양이였다.

서울시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송옥주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2014∼2016 로드킬 등 동물 사체 수거·처리 실적’에 따르면 2014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로드킬로 숨진 동물은 총 1만7천36마리였다.

이 가운데 고양이 로드킬이 80%(1만3천604마리)로, 압도적인 숫자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로드킬로 숨진 동물 가운데 개는 9%(1천517마리), 멧돼지·노루·새 등 숫자가 적어 기타로 분류된 동물은 11%(1천915마리)를 차지했다.

연도별 로드킬 건수는 2014년 7천465건에서 지난해 6천65건으로 감소했다가 올해 상반기 3천506건으로 다시 상승하는 추세다.

고양이 로드킬 추세 역시 같은 곡선을 그렸다.

로드킬을 당한 고양이는 2014년 5천923마리, 지난해 4천883마리, 올해 상반기 2천798마리로 집계됐다.

도로를 건너다 차에 치이거나 길에 죽어있는 동물은 시민이 신고하면 각 자치구에 설치된 동물사체처리기동반이 출동해 수거해 처리한다.

폐기물관리법은 동물 사체를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거나 일반폐기물처럼 처리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개와 고양이 등을 애완동물로 키우는 사람이 늘면서 이 같은 방식이 시민 정서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일었다.

이에 서울시는 2009년 7월 동물 사체를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축, 자치구에 3∼6명으로 이뤄진 동물사체처리기동반을 두도록 하고 주민 신고가 들어오면 출동해 동물 사체를 수거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구청에 신고가 들어오는 숨진 동물 대부분은 도로에서 길을 건너다 차에 치이는 로드킬 사고를 당한 것”이라며 “주인 없이 떠도는 길고양이, 유기견 등이 특히 많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