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6년 만에 한반도 통과…최대 영향권은 언제

태풍, 6년 만에 한반도 통과…최대 영향권은 언제

입력 2018-07-01 14:49
수정 2018-07-01 16: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태풍 ‘쁘라삐룬’의 예상 이동 경로. 2018.7.1 기상청 제공
태풍 ‘쁘라삐룬’의 예상 이동 경로. 2018.7.1 기상청 제공
1일 오후 3시 현재 태풍 ‘쁘라삐룬’이 일본 오키나와 남쪽 약 21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5㎞ 속도로 북서쪽으로 이동 중이라고 기상청이 밝혔다.

태풍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북진 또는 북북서진하다가 2일 오후 서귀포 남쪽 약 430㎞ 해상에 위치하면서 우리나라가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2일 밤부터 3일 새벽 사이에는 제주도를 지나 3일 오전 무렵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오후쯤 남부지방의 최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동 속도가 점점 느려진 태풍은 2일 오후부터 시속 28㎞ 이상의 속도를 내면서 북북동진해 3일 밤 동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기상청은 예측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태풍은 바닷물 온도가 낮은 동해상(약 21도)을 지나면서 에너지가 약해지고 주변의 찬 공기와 섞여 4일 오후 온대저기압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며 “열대 해상으로부터 많은 수증기를 가지고 북상함에 따라 국지적으로 강한 바람이 불고 많은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고 말했다.

한편 장마전선이 2일 오후까지 중부지방에 머무르면서 서울, 경기도와 강원 영서에는 시간당 50㎜ 이상의 매우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사흘간 전국의 예상 강수량은 100∼250㎜다. 다만 서울과 경기도, 강원 영서, 남해안, 지리산 부근, 제주도 산지 등은 300㎜ 이상을 기록할 수도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최근 장마로 대부분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려 지반이 약해진 상태에서 앞으로도 장마와 태풍에 의한 많은 비가 예상된다”며 “산사태, 축대 붕괴, 저지대 침수 등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관계자는 “2012년 이후 태풍다운 태풍이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미친 적이 없다”며 “5년간의 공백으로 태풍 방재 경험이 충분하지 못해 대응이 부족할 수 있으니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