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박종철 대신 민주열사로 산 아버지 아들 곁으로

30년간 박종철 대신 민주열사로 산 아버지 아들 곁으로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7-31 11:32
수정 2018-08-01 09: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결식장에 울려 퍼진 ‘임을 위한 행진곡’

“아들을 잃은 고통 속에서 희망을 잃지 않고 민주주의를 위해 이바지하셨습니다. 이제 아들 옆에서 편히 쉬시길 바랍니다.”

경찰의 고문으로 숨진 아들 박종철 열사가 이루지 못한 민주주의 사회 구현을 위해 평생을 헌신한 ‘민주열사’의 아버지 박정기 씨가 아들 곁으로 떠났다.

박정기 씨의 영결식은 31일 오전 5시 30분께 고인의 빈소가 마련된 부산 부산진구 시민장례식장에서 엄수됐다.

이한열 열사 어머니 배은심 씨를 비롯해 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회원과 시민사회단체 회원 100여 명이 고인의 마지막 길을 함께 했다.



박 열사의 형 종부(59) 씨와 누나 은숙(55) 씨, 어머니 정차순(86) 씨 등 유족들은 엄숙한 분위기 속에 지켜봤다.

영결식에서 박 열사의 혜광고 친구 김치하 씨 등의 추모 발언이 이어지자 유족들은 조용히 흐느꼈다.

고인이 아들을 대신해 민주열사로 31년간을 살아온 여정을 담은 듯 영결식 마지막에 ‘임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 퍼졌다.

영결식이 끝난 뒤 발인이 이어졌다.

운구차가 관을 싣고 화장장으로 향하자 무거운 침묵이 흘렀다.

유족들과 시민장례위원들은 고개 숙이며 고인을 떠나보냈다.

오전 7시 부산 영락공원에서 화장 절차가 진행된다.

유족과 장례위원들은 고인의 영정을 들고 서울로 향하고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사랑방인 서울 동대문구 ‘한울삶’에 잠시 머문다.

오후 2시에는 서울광장에서 노제가 열린다.

노제가 끝나고 박 열사가 고문으로 숨진 남영동 대공분실도 방문할 예정이다.

고인은 오후 5시 경기도 남양주 마석 모란공원에 아들 박 열사와 나란히 묻힌다.

민병주 서울시의원, 조합설립 동의율 75% 완화로 소규모 정비사업 속도 낸다

조합설립 동의율 완화(재개발 75%, 재건축 70%)로 소규모 정비사업 추진이 빨라지고, 정부의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기준 완화로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주거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민병주 의원(국민의힘·중랑4)은 지난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위원회를 통과한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빈집법) 개정안과 관련해 “그동안 지연되던 소규모 정비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는 중요한 계기”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서울시 모아주택이나 가로주택 정비사업에 해당하는 소규모 재개발의 조합설립 동의율을 기존 80%에서 75%로, 소규모 재건축의 경우 75%에서 70%로 낮추는 내용을 포함했다. 또한 서울시 다세대·연립주택의 베란다 샷시, 주차장 캐노피, 차양 등 소규모 위반 건축물에 부과되는 이행강제금을 감경하는 규정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업 추진에 필요한 동의자 수가 줄어들어 절차가 신속해지고, 장기 표류하던 구역의 사업 정상화0가 기대된다. 민 의원은 “동의율 완화는 주민 갈등을 줄이고, 사업비 부담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며 “서울시 역시 소규모 정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thumbnail - 민병주 서울시의원, 조합설립 동의율 75% 완화로 소규모 정비사업 속도 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