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4년제 대학의 학생 1인당 장학금이 337만원으로 한 해 사이 10만원가량 늘었다. 학생 수가 줄면서 대학들이 학생 교육에 투자하는 평균 교육비는 늘었고 학생들이 부담하는 입학전형료는 낮아졌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31일 전국 417개 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장학금·학자금 대출 등에 관한 정보를 공시하고 이 가운데 4년제 일반 대학 185곳의 정보를 분석했다.
지난해 4년제 대학의 장학금 총액은 4조 7377억원으로 전년 대비 315억원(0.7%) 늘었다. 학생 1인당 장학금은 연간 337만 4000원으로 전년(327만 9000원)보다 9만 5000원(2.9%) 증가했다. 국·공립대 장학금은 평균 275만 1000원, 사립대는 355만 7000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6%와 3.2% 증가했다.
2017년 2학기와 2018년 1학기에 학자금 대출을 받은 학생 수는 35만 3257명으로 한 해 사이 1만 270명(2.8%) 줄었다. 이에 따라 학자금 대출 학생 수 비율도 12.6%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낮아졌다.
지난해 일반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546만 9000원으로 한 해 사이 60만 7000원(4.1%) 늘었다.
국·공립대 학생 1인당 교육비(학생 교육과 교육 여건 조성을 위해 학교가 투자한 비용)는 1706만 8000원, 사립대는 1497만 6000원으로 각 5.0%와 3.8% 증가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에 대한 정부 재정지원은 늘어나는데 학생 수는 줄고 있어 1인당 교육비는 높아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2018학년도 신·편입생 평균 입학전형료는 4만 8800원으로 3600원(6.9%) 낮아졌다. 국·공립대 입학전형료는 평균 3만 3000원, 사립대는 5만 2100원이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