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확산에 제주 관광 위축되나

오미크론 확산에 제주 관광 위축되나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입력 2022-01-02 16:41
수정 2022-01-02 16: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제주관광객 1201만명으로 17.4% 증가
12월 오미크론 확산되며 다소 꺾이는 추세

지난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1200만명을 넘었으나 올해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다소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1일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누적 관광객은 1201만 3924명(잠정치)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제주 관광객은 1023만 6445명(확정치)보다 17.4% 늘어난 것이다. 내국인 누적 관광객은 1196만 5646명, 외국인 누적 관광객은 4만 8278명이다.

올해도 지난해와 같이 코로나19 사태로 끊긴 외국인 관광객의 빈자리를 내국인 관광객이 메우며 제주 관광을 이끌었다. 제주가 해외여행 대체지, 신혼여행지로 다시 주목받으면서 제주 재방문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해는 4월부터 상춘객이 몰리며 한 달간 1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제주를 찾기 시작했다.

4월 108만 2861명, 5월 113만 6452명, 6월 113만 8867명, 7월 113만 1512명, 10월 122만 2094명, 11월 120만 4344명, 12월 109만 6094명 등 월 100만명 이상 관광객이 방문한 횟수가 7차례였다.

2020년에는 8월, 10월, 11월 등 3차례에 불과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백신 접종, 지난 11월 단계적 일상회복 등으로 여행 수요가 폭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 발생과 확진자 폭증 사태로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시행되면서 12월 들어 여행심리가 다시 꺾이는 추세다.

제주도는 연말연시 코로나19 방역 강화에 따라 제주 일출 명소인 성산일출봉과 한라산의 새해 해맞이 탐방을 전면 통제했다.

해맞이 행사인 성산일출축제를 지난달 31일부터 이날까지 비대면(온라인)으로만 개최하고, 한라산 해넘이·해맞이를 위한 야간산행을 전면 통제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