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점심 장사입니다” 60년 통술집의 영업 종료 1961년 11월부터 서울 미근동 서대문경찰서 옆 골목을 지켜낸 돼지갈비 식당 서대문원조통술집의 고수덕 사장이 3일 영업 종료 전 마지막 점심 장사를 위해 드럼통 탁자를 닦고 있다. 전남 광양에서 상경해 탁자 3개를 놓고 시작한 가게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국도 이겨 내며 번창했고 개업 60주년을 맞은 지난해엔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영업위기는 버티지 못하고 영업을 종료했다. 오장환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마지막 점심 장사입니다” 60년 통술집의 영업 종료
1961년 11월부터 서울 미근동 서대문경찰서 옆 골목을 지켜낸 돼지갈비 식당 서대문원조통술집의 고수덕 사장이 3일 영업 종료 전 마지막 점심 장사를 위해 드럼통 탁자를 닦고 있다. 전남 광양에서 상경해 탁자 3개를 놓고 시작한 가게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국도 이겨 내며 번창했고 개업 60주년을 맞은 지난해엔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영업위기는 버티지 못하고 영업을 종료했다. 오장환 기자
1961년 11월부터 서울 미근동 서대문경찰서 옆 골목을 지켜낸 돼지갈비 식당 서대문원조통술집의 고수덕 사장이 3일 영업 종료 전 마지막 점심 장사를 위해 드럼통 탁자를 닦고 있다. 전남 광양에서 상경해 탁자 3개를 놓고 시작한 가게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국도 이겨 내며 번창했고 개업 60주년을 맞은 지난해엔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영업위기는 버티지 못하고 영업을 종료했다.
오장환 기자
2022-01-0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