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보관할 곳도 없다…지역마다 쌀 소비 독려에 발버둥

더 이상 보관할 곳도 없다…지역마다 쌀 소비 독려에 발버둥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입력 2022-07-14 15:00
수정 2022-07-14 15: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쌀 재고가 창고에 넘쳐나고 가격은 하락
올해 전북여서만 60여 만톤의 쌀이 생산되면 문제는 더 심각
지역에선 쌀 촉진 운동에 안간함

농협 창고에 쌓인 쌀
농협 창고에 쌓인 쌀 농협 창고에 쌀 재고가 산처럼 쌓여있다(전북농협 제공)
‘나락(벼) 산성’이 쌓이면서 보관 전쟁이 벌어질 우려가 커졌다. 특히 올해는 추석이 빠르고 다음 달이면 햅쌀이 나올 예정으로, 자칫 창고에 넣지 못한 쌀을 야적해야 할 상황이다.

14일 전북도와 전북농협 등에 따르면 각 지역 농협에서 수매·보관하는 창고에 지난해 같은기간 7만2천톤보다 많은 11만4천톤의 재고가 쌓여 여유 공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올해 전북에서 지난해 수준인 60여 만톤의 쌀이 생산되면 창고 보관 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

또 쌀값 역시 하락이 불가피하다. 6월 기준 쌀 가격은 80kg 쌀포대 기준으로 18만2,148원을 기록, 지난해 22만3,616원보다 크게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햅쌀이 나오면 작년 생산된 쌀을 헐값으로 밀어내기 할 수밖에 없어, 추가 가격 폭락이 예상된다.

이처럼 쌀 가격 폭락과 보관 창고 부족이 심각해지자 각 지역에선 쌀 소비를 독려할 수 있는 자구책 마련에 발버둥을 치고 있다.
전북도 쌀 소비 촉진운동
전북도 쌀 소비 촉진운동 전북도가 ‘하루 두끼는 밥심으로’라는 주제로 쌀 소비 촉진운동을 시작했다(전북도청 제공)
전북도는 14일 전북농협과 함께 ‘하루 두끼는 밥심으로’라는 주제로 쌀 소비 촉진 운동을 시작했다. 지역 내 쌀 재고 과잉을 해소하고,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쌀값 안정화를 위해선 범 도민 소비촉진 운동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전북도는 전주역·익산역, 한옥마을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 쌀 소비 촉진 운동을 지속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북도와 전북농협은 앞으로 88명의 도내 주요 기관장들의 쌀 소비 촉진을 위한 ‘88릴레이 챌린지’도 진행할 방침이다.

전남은 ‘아침밥 먹기’ 운동을 비롯해 농협 임직원 쌀 100만 포대 팔기 운동, 소비 판촉 행사, 고객 사은품에 쌀 활용 등에 나서고 있다. 충남에서는 농협 임직원이 한(1)달에 20kg쌀 두(2)포씩, 총 삼(3)개월간 자발적으로 구매하는 일명 ‘123운동’을 통해 지인 및 주요 고객들에게 쌀 선물을 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전북도 김종훈 정무부지사는 “우리 국민 제1의 주식인 쌀의 소비 확대는 식량주권을 지키는 것과 같다”면서 “모두가 쌀 소비촉진 운동에 동참해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