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4명, “건강보험 혜택 위해 보험료 더 부담 가능”

10명 중 4명, “건강보험 혜택 위해 보험료 더 부담 가능”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07-30 07:00
수정 2022-07-30 07: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60대 10명 중 4명은 지금과 같은 건강보험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건강보험료를 부담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보건복지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건강보험 혜택을 유지하기 위해 지금보다 더 많은 건강보험료를 부담할 용의가 있다’는 문항에 대한 동의 정도를 묻자 41.2%가 동의한다고 밝혔다. 58.8%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 비율은 여성인 경우(64.9%), 60대인 경우(62.2%),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66.4%), 가구 소득이 낮을수록(월 300만원 미만 62.1%)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여성 또는 60대는 상대적으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가구소득이 낮은 집단은 건강보험료 증가에 대한 부담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향후 적절한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연금 보험료를 부담할 용의가 있다’는 문항에 대해서는 다소 동의한다 50.9%, 매우 동의한다 10.5%로 전체의 61.3%가 동의했다.

이런 경향은 남성(62.9%) 고연령층인 경우(60대 66.1%), 농어촌 거주자인 경우(69.4%), 교육수준이 높을수록(대학원 이상 66.0%),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62.8%), 가구소득이 높을수록(월 700만원 이상 65.2%), 배우자가 있는 경우(63.2%), 자녀가 있는 경우(63.6%)에 두드러졌다.

또한 국가로부터 더 많은 보건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지금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낼 용의가 있는지 묻자 56.0%가 동의하는 반면, 44.1%는 동의하지 않았다. 농어촌 지역 거주자인 경우(61.7%), 교육수준이 높을수록(대학원 이상, 64.5%) 동의 정도가 높았다. 반면 여성(48.0%),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48.8%), 가구소득이 300만원 미만인 경우(49.3%)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 조사는 지난해 10월 20~60대 6000명을 대상 온라인으로 시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1.27% 포인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