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종합병원 등을 이용하는 고령층을 중심으로 항생제에 내성을 갖고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항생제 내성균)’ 감염증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병원 내 오염 기구나 물품 등으로 전파될 수 있고 감염되면 요로감염,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29일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지역 의료기관이 의뢰한 항생제 내성균 검사에 따른 양성 확인 건수는 1116건 중 1025건으로 양성률이 92%를 차지했다.
CRE 감염증 검사(양성)건은 2019년 189건(134건 ,양성률 71%)에서 2020년 341건(290건, 양성률 85%), 2021년 504건(458건, 양성률 91%)으로 5배까지 급등했다. 70세 이상 고령인구 양성건 수는 신고된 1116건 중 775건으로 69%를 차지해 공중보건에 큰 위협요인으로 분석됐다.
경기도 역시 2019년 2184건(1717건), 2020년 3473건(2748건), 2021년 5388건(4514건), 2022년 1~10월 5420건(4722건)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북부지원이 지난해 신고된 1886건 분석 결과 70세 이상 고령 인구가 1268건으로 전체의 67.2%에 달했다. 검사 의뢰기관도 요양병원이 568건(30.1%)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CRE 감염증은 카바페넴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장내 세균속균종으로, 주로 중증 환자가 많은 종합병원과 요양병원 내 직·간접 접촉을 통해 발생한다. 감염되면 요로나 혈류 등 다른 부위로 유입돼 요로감염, 혈류감염, 상처감염 및 폐렴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CRE 감염증은 병원체 보유자간 접촉이나 병원 내 오염된 기구나 물품 등을 통해 전파되는 만큼 의료기관의 환경 위생 관리도 중요하다”며 “항생제가 제한되기에 환자 치료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사망률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의료기관과 함께 개인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천안 이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