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교인 교수팀 “간·심장질환 및 장기이식 환자에 희소식”


3D 프린터로 출력한 인공혈관. 울산대 제공
울산대는 전기공학부 의공학전공 구교인 교수팀이 국내 최초로 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울산대에 따르면 구 교수팀은 최근 3D 바이오프린터를 이용해 몸 밖에서 지름 3㎜ 이상의 혈관을 출력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주요 혈관 기능을 시험한 후 동물 체내에 삽입해 염증이 발생하지 않은 사실을 확인했다.
기존 기술은 위에서 아래로 3㎜ 이하 작은 지름으로만 출력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기술과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출력하는 ‘역 중력 기술’을 적용해 간이나 심장 등에 쓰일 수 있는 3㎜ 이상 큰 지름 혈관을 출력할 수 있게 했다.
구 교수팀은 2020년 혈관을 출력할 수 있는 3D 바이오프린터 노즐을 개발한 바 있다. 구 교수는 “조직과 융합·재생이 가능한 세포를 출력해 20일 동안 체외에서 성장시킨 후 동물 체내에 이식한 결과 생물학적 안정성을 확인했다”며 “특허 출원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개인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울산대 전기공학부 구교인 교수·생명과학부 백승훈 교수, UNIST 신소재공학과 차재녕 교수,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서종모가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바이오패브리케이션’에 게재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