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속철’ 전라선, ‘고속철’ 될까?…타당성 검증 착수

‘저속철’ 전라선, ‘고속철’ 될까?…타당성 검증 착수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입력 2025-01-22 14:08
수정 2025-01-22 14: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KTX(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없음). 서울신문 DB
KTX(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없음). 서울신문 DB


‘저속철’이라는 오명을 받는 전라선이 진정한 고속철로 탈바꿈할 수 있을까.

최근 전라선 고속화 사업에 대한 정부 예비타당성조사가 시작돼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를 앞두고 복선전철화가 완료된 전라선은 익산에서 여수까지 곡선주로가 많은 기존 선로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시속 120㎞로 운행되고 있다.

서울에서 여수까지 3시간이 넘게 소요되며 저속철이라고도 불린다.

전라선 권역은 연간 1000만 관광객이 찾는 전주 한옥마을, 순천만 국가정원, 여수엑스포 등 관광자원이 풍부해 방문객들이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객을 실어 나를 열차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지역의 불만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전북과 전남에서 익산~여수 구간의 복선전철 고속화 사업을 추진했다.

1조 9326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 범위는 177.2km(기존선 활용 134.8㎞, 신설 42.4km)에 달한다.

급경사·급곡선 등 불량한 철도 선형을 개량해 운행속도 상향 및 운행 효율성을 높이는 게 목적이다.

사업이 마무리되면 서울 용산에서 전남 여수까지 주행시간이 기존보다 30분가량 단축된 3시간 내 주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은 지난해 10월 예타 대상 사업에 선정됐고, 지난달 타당성 검증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도 관계자는 “호남지역 교통 편의 개선을 위해 전라선 고속화 사업 예타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