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2위 환적항인 부산항의 ‘타 부두 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적 모니터링시스템이 올해 하반기 모든 선사에 확대 적용된다.
부산항만공사(BPA)는 현재 국적선사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 중인 블록체인 기반의 환적 모니터링 시스템 ‘포트아이’(Port-i)를 올해 하반기 중으로 부산항을 이용하는 모든 선사에 도입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지난해 1천350만TEU의 역대 최대 환적 물동량을 기록한 부산항은 신항에 7개, 북항에 3개 터미널을 운영하는 이원화된 체계로 인해 다른 부두로 화물을 옮겨 싣는 ‘타 부두 환적’이 불가피하다.
문제는 타 부두 환적의 경우 하역료를 이중 부담해야 하고 화물 운송비도 추가되는 데다 환적 지연 등 효율성도 떨어져 부산항 환적 경쟁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항만공사는 지난해 부산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조성사업으로 포트아이를 개발해 올해부터 국적선사인 HMM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부산항 환적모니터링시스템 설명자료 (부산항만공사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부산항 환적모니터링시스템 설명자료 (부산항만공사 제공)
포트아이는 부산항의 모든 컨테이너 터미널을 통합 플랫폼으로 연결해 부산항을 이용하는 선사들이 실시간으로 선박, 화물, 선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부산항만공사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으로 부산항 환적화물의 36%가 타 부두 환적 물량”이라며 “타 부두 환적으로 인한 연간 추가 비용만 2천억원에 달할 정도로 선사들의 부담이 컸으나 포트아이 도입으로 비용 절감은 물론 환적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형모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