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 황금노선 김포~제주 하늘길 줄었는데… 제주 관광 부활될까

하계 황금노선 김포~제주 하늘길 줄었는데… 제주 관광 부활될까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5-03-20 10:30
수정 2025-03-20 11: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9개 항공사 중 6개 항공사 작년 하계 대비
황금노선 김포~제주노선 감편· 예년수준 그쳐
지방노선은 확대… 진에어 군산~제주 주 14회 증편
이스타항공 김해~제주 신규노선 총 28편 운항도
국토부, 오는 26일 국내항공사 하계 스케줄 발표 예정
여행·항공업계 “기존 노선 살리며 지방노선 확충했어야”

이미지 확대
국토교통부는 오는 30일부터 9개 국내 항공사의 하계 항공노선 스케줄을 적용한다. 2025년 하계 국내항공운송사업계획 인가 신청내역에 따르면 황금노선인 김포~제주 노선은 대부분 감편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상공에서 바라본 제주국제공항 활주로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국토교통부는 오는 30일부터 9개 국내 항공사의 하계 항공노선 스케줄을 적용한다. 2025년 하계 국내항공운송사업계획 인가 신청내역에 따르면 황금노선인 김포~제주 노선은 대부분 감편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상공에서 바라본 제주국제공항 활주로 모습. 제주 강동삼 기자


제주관광의 위기를 맞은 제주도가 하계항공 증편에 대한 기대에 차 있었으나 황금노선인 김포~제주노선이 감편되면서 적신호가 켜졌다.

오는 30일부터 9개 국내 항공사의 하계 항공노선 스케줄이 적용되는 가운데 지방노선은 증편되는 반면 항공사들의 황금노선인 김포↔제주 노선은 사실상 대부분 감편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서울신문이 입수한 국토부의 2025년 하계 국내항공운송사업계획 인가 신청내역에 따르면 대형국적항공사인 대한항공의 경우 김포↔제주 노선이 지난해 하계 대비 주 2회 감편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 176회에서 주 174회로 줄어든다.

대신 김해↔제주노선이 주 42회에서 46회로 주 4회 증편되고 제주↔사천노선이 주3회에서 주5회로 주2회 증편된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는 김포↔제주노선이 지난해 161편에서 140편으로 무려 주21회나 감편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렇다고 지방노선이 증편된 것도 아니다. 김포~광주, 김포~여수, 대구~제주 모두 주 14회로 단 1편도 늘지 않았다. 대한항공과의 합병 영향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진에어의 경우 김포~제주노선은 주5회 감편(제주~김포 주1회 감편)되고 에어부산은 김포~제주 2편 감편(제주~김포 4편 감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포↔제주 노선이 확대되는 항공사는 9개 항공사 중 제주항공(주2회 증편), 티웨이항공(주4회 증편), 이스타항공(주4편 증편) 등 3개 항공사에 그쳤다.

반면 지방노선의 경우 진에어가 군산~제주노선을 주 14회 증편하며 티웨이항공이 청주~제주노선 주2회 늘어난다. 이스타항공의 경우는 김해~제주 신규노선이 생기면서 총 28편이 운항될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제주국제공항 외부 전경. 제주 강동삼 기자
제주국제공항 외부 전경. 제주 강동삼 기자


국토부는 오는 26일 이같은 하계 스케줄 계획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관광회복의 전기를 기대하던 제주도에는 빨간불이 켜졌다. 앞서 도는 하계 항공편 증편을 손꼽아 기다리며 제주 관광의 부활 신호탄을 쏘게 될 것으로 잔뜩 기대에 차 있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지난 17일 오전 도청 한라홀에서 열린 3월 주간 혁신성장회의에서 “하계 항공 노선 확대에 맞춰 제주 관광시장의 본격적인 회복을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며 “모든 지원정책을 3월 30일 하계 스케줄 전환 시점에 맞춰 시행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어 궤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항공노선 확대는 지역의 현안과제다. 실제 지난해 9월 전북도의회 의원들은 “지역간 항공 교통편의 불균형 해소와 항공 소외지역 국민들의 교통권 확보를 위해 지방공항의 노선 및 편수가 안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제도 마련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는 건의안을 일찌감치 국토교통부에 제출하며 압박해왔다.

이로 인해 국토부가 지역 의원들의 건의를 마냥 외면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제주도민들의 시각은 또 다르다. 제주도민들은 수요가 많은 제주~김포노선을 줄이고 지방노선을 증편하는 것에 대해 못마땅한 상황이다. 지방노선 확대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급병원인 서울에 가야 하는 경우가 많아 탑승률이 90%를 넘는 제주~김포 노선이 줄어드는 것이 달갑지 않은 분위기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8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에 참석해 수료자들과 정비사업 관련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이번 아카데미는 서대문구 주거정비과에서 기획했다. 서대문구는 오래된 주거지역이 많아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가재울뉴타운과 북아현뉴타운을 비롯해 수십 곳의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아카데미는 조합원의 소중한 자산인 부동산을 깊이 이해하고, 직접 이해관계자로서 자기 자산을 지켜가며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아카데미는 이론과 실무 경험이 풍부한 우수 강사진을 구성하여 ▲정비계획 및 구역지정 절차 ▲조합 추진위의 구성과 운영 ▲조합 임원의 역할 및 소송 사례 ▲정비사업 감정평가의 이해 ▲조합원 분담규모와 관리처분계획 등 정비사업 전반에 걸친 전문적인 강의를 제공했다. 김 의원은 수강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시 조합원들의 종전자산 평가와 분담규모 추산액, 그리고 사업 추진 속도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김 의원은 과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여행·항공업계 관계자는 “지방노선은 탑승률이 70%도 안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많이 이용하는 황금노선을 살리는 동시에 지방노선을 확충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데 땜질처방만 한 꼴”이라고 꼬집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