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모자의료 진료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올해 권역·지역 모자의료센터에 시비 9억원을 지원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통해 고위험 산모·신생아가 중증도에 따라 2개 권역, 6개 지역 모자의료센터 중 적정한 의료기관에서 진료받고, 응급 분만 등 긴급한 상황에 24시간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설 연휴 기간 비상 진료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지역 분만 기관 16곳 등 고위험 산모·신생아를 위한 의료기관 핫라인을 구축해 운영했다.
또 재난관리기금으로 신생아 중환자실 예비 병상 확보 인력을 지원하면서 산모·신생아 전원, 이송 지원 등 응급 대응체계를 강화해 의료 공백을 최소화했다.
이와 함께 시는 지역 완결적 필수응급의료 체계 구축을 목표로 부산형 소아 응급의료 체계를 도입하고, 동·서부산 전역에 달빛어린이병원을 확충해 나가고 있다. 달빛어린이병원은 부산 전역에 3곳에 불과했지만, 2023년 10월 이후 영도구, 강서구, 사하구에 각 1곳을 지정했으며 소아 인구가 5만 5000명인 해운대구에 2곳을 지정해 현재 8곳 운영 중이다.
한편 이날 인제대학교해운대백병원에서 권역모자의료센터 개소 1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미숙아 출산 가족과 고위험 산모 100여명 등이 참석했다.
인제대학교해운대백병원은 2022년 보건복지부로부터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로 지정됐으며, 최신 의료장비 도입과 분만실 리모델링, 산모·태아 집중치료실 신설 등을 거쳐 지난해 2월 권역모자의료센터로 개소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